■ 丑토가 각 12 지지(地支)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사음이양(四陰二陽)인 丑토는 일양시생(一陽始生)하는 子수와 寅월과의 강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나 아직도 음기가 왕성한 상태이다. 丙화나 丁화의 조후작용이 없다면 土기의 역할인 만물을 생육하지 못하게 되며 절기로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 있다. 소의 물상은 과묵, 우직, 정직, 근면성실하고 사음이양(四陰二陽)이니 외면은 조용하나 내면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丑토의 어원은 맬 뉴(紐)이다. 동토(凍土)인 丑토가 水기를 만나게 되면 응결되며 조후를 해결하는 火기가 있으면 火기가 도기(盜氣) 당하고 “토생금(土生金)”의 작용을 하게 된다. “토극수(土剋水)”의 작용은 명(命)에 火기와 土기가 많으면서 己토가 사령하게 되면 약간은 작용을 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