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己정재에 대해서 ■ 甲己정재에 대해서 우리는 양간과 음간이 재성을 바라보는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양간이 편재를 보게 되면 흥분하고 크게 놀며 음간이 편재를 보면 머리를 쓰고 편재를 실용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음간(陰干)은 정재를 다루기가 어렵고 끌려 다니게 되며 감당하.. 천간물상론 2020.04.06
육친(六親)관계와 사건사고에 관한 간단한 통변예문 Image origin/Blog captured ■육친(六親)관계와 사건사고에 관한 간단한 통변예문 여기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중요한 육친관계와 사건사고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길함과 흉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단지 육친관계(六親關係)와 발생하는 사건사고의 개운법에만 활용하기를 바.. 육친론 2017.07.03
乙목운에 비견과 정재가 천간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에 대하여 - 6 ■乙목운에 비견과 정재가 천간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에 대하여 - 6 비견과 정재의 합(양간) - “○庚庚○”의 명에 乙未년의 세운통변. 쟁합(爭合)이 되며 만약 火기관성이 있다면 충분한 보호를 받을 수 있으니 군비쟁재 (郡比爭財), 쟁합(爭合)의 역작용을 걱정할 것이 없다. 신약재다.. 운세론 2016.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