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살(神殺)의 음양 즉, 통변의 양면성에 대하여 Image Origin is Blog Captured ■ 신살(神殺)의 음양 즉, 통변의 양면성에 대하여 살아오면서 우리는 “도화살, 역마살, 원진살(怨嗔殺), 그리고 백호대살(白虎大殺)” 정도는 한 번 쯤 들어보았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명리학에서 상기 4 개의 살(殺)은 대표적인 신살인데 신살(神殺)의 의미는 기운.. 사주학 2018.10.10
신살의 2 가지 다른 해석에 대하여 ■신살(神殺)의 2 가지 다른 해석에 대하여 살아오면서 우리는 도화살, 역마살, 원진살 그리고 백호대살 정도는 한 번 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궁합을 보려고 철학관을 방문하게 되면 "도화살(桃花煞)이 들어서 바람을 많이 피우겠네!", "역마살(驛馬煞)이 들어서 객사를 하겠어!", "원진살(.. 신살론 2015.10.11
신살론에 대해서 여기저기 흩어져있던 신살을 모아서 일목요연(一目瞭然)하게 설명을 드리는 신살론 Category를 마련했습니다. 신살은 사주의 장식물입니다. 이는 사주를 볼 때 먼저 음양오행을 따져서 없거나 태과한 오행의 치우침을 살피고 물상론으로 사주의 그림을 연상해 보고 격국론으로 사회생활을.. 공지사항 201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