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유내강 8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3 / 5

■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3 / 5 ☞ 전장에 이어서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설명이 계속 됩니다. ^^ 己癸편재 - 격국을 이루게 되면 즉, 亥子丑월이라면 춥고 한습한 명(命)이 되니 火기인성이 절실하며 없다면 음지의 己토일간이 되고 이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癸수편재가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남들이 천하게 보는 고리대금업 등의 癸수편재라는 의미이며 편재이기는 하나 다른 편재와는 달리 통찰력, 거시적인 안목 등이 한결 떨어진다. 물상으로는 축축한 논밭, 운무에 덮힌 모래밭 등을 연상할 수 있고 甲목정관과 丙화정인이 절실하다. 己壬정재 - 壬수의 커다란 물이 범람하고 바닥에 깔리는 황토, 모래의 己토일간의 물상이니 壬수정재를 막으려는 생각이 전혀 없다. 부담스럽기는 하나 순응하며 ..

격국론 2020.12.24

乙목일간의 통변

■ 乙목일간의 통변 첫 번째의 양간인 甲목은 정신적이나 대표적인 음간인 乙목은 현실적, 물질적, 실용적인 특성이 강하며 사시사철, 자연채광(自然採光)인 丙화를 갖추어 만발(滿發)함이 제 1 의 임무가 되고 지지에서는 辰토와 丑토가 필요하다. 외유내강(外柔內剛)형이고 강한 자존심(自尊心),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끈질긴 생명력, 환경적응력이 강하다. 인정이 많고 감정에 끌리는 면이 많으나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은혜를 저버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 乙목일간은 계절 즉, 월지를 중시(重視)해야 하며 봄(寅卯辰월)에 피는 꽃은 성급하니 빨리 피고 빨리 지게 되며 여름(巳午未월)에 피는 꽃은 차근차근 성장하니 무리가 없다. 가을(申酉戌월)에 피는 국화는 기품(氣品), 절개가 있으며 동지섣달인 겨울(亥子丑월)에 피는 ..

운세론 2020.07.22

辛辛비견에 대하여

Image Origin / Blog Captured■辛辛비견에 대하여庚辛금의 比劫은 섞이지 않으니 화합이 안 된다. 왕한 "庚庚비견"은 비견(比肩)을 넘어선 쌍칼의 혈투를 벌리고 "辛辛비견"은 경쟁심리가 아주 강하며 쟁관(爭官)작용이 심한     음간, "辛辛비견"은 丙화정관을 놓고 심한 경쟁을 벌리니 가장 강력한 투합이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비겁(比劫)의 역작용은 관성으로 다스리는데 辛辛비견 만큼은 水기     식상으로 다스려야 하며 辛금일간은 아무리 신약해도 비견(比肩)의 도움을 원치 않으니 억부가 아니고 水火식관으로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申금겁재는 辛금일간과 다른 상품이니 서로 기가 통하지 않으나 申금겁재 중에는 壬수  상관이 있어 천간에 壬수상관이 있으면 申금겁재이나 오히려 酉..

천간물상론 201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