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癸상관에 대하여 ■ 庚癸상관에 대하여 금생수(金生水)의 생(生)함은 왕하나 설기(洩氣)함은 약하니 이는 자기 성질을 못 이기고 금다수탁(金多水濁)됨을 의미하며 자연수인 癸수상관은 노력없이 결과 만을 얻으려고 한다. 庚금일간을 전문가로 만들어 주는 열의 丁화정관을 癸수상관은 "丁癸충"으로 방.. 천간물상론 2020.04.01
庚辛겁재에 대하여 ■ 庚辛겁재에 대하여 전형적이고 겁재(劫財)다운 겁재(劫財)가 된다. 음간인 辛금겁재는 양간인 庚금일간보다 민첩하고 영리하니 ”乙辛충“으로 乙목정재를 먼저 가져가게 되고 辛금겁재는 庚금일간이 덩치만 커가지고 느리고 둔하며 멍청하다고 생각을 한다. 庚금일간이 감히 꺽을 .. 천간물상론 2020.03.03
戊己겁재에 대하여 ■ 戊己겁재에 대하여 戊己겁재는 戊토일간의 주재, 주관 그리고 己토겁재의 양생(養生)을 동시에 겸하게 되니 명(命)과 운도 동일한 의미가 된다. 산 밑의 전원주택, 밭, 주말농장, 별장, 펜션 등의 형상이 되고 그 쓰임새가 좋다. 戊토만 있으면 정신적이고 己토가 있으면 농사, 실용적인.. 천간물상론 2020.03.01
未토가 乙목과 丙화를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 未토가 乙목과 丙화를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乙목에게 未토는 양지(養支)가 되며 未토의 지장간의 초기인 丁화는 午화와 같다. 조열한 명(命)은 아직 문제가 있으니 이러한 경우에는 조열함을 해소하는 癸수가 절실하게 되며 조열하면 乙목은 말린 꽃(Dry-flower)이 된다. 金기와 水기가 .. 사주학 2019.11.13
비견운과 겁재(劫財)운에 대하여 ■ 비견운과 겁재(劫財)운에 대하여 일간과 동일한 오행인 비견은 형제, 자매, 친구, 동료, 동업자, 동창, 선후배, 동업자, 단체, 경쟁자, 조직 등을 의미한다. 비견이 왕하면 일간의 강약을 살피고 정관(正官)의 동태를 살펴야 한다. 일간이 왕한 경우에 정관(正官)이 비견을 잘 눌러준다면 .. 사주학 2019.07.24
편관격에 대하여 - 편관격, 칠살격, 귀살격의 구분을 중심으로 ■편관격에 대하여 - 편관격, 칠살격, 귀살격의 구분을 중심으로 일간의 통근력의 강약에 따라 편관격, 칠살격, 그리고 귀살격(鬼殺格)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작용력이 달라지게 된다. 칠살의 제화가 잘 되었거나 일간이 록왕지(祿旺支)에 통근하게 되면 편관격이 되니 어지간한 육신은 .. 격국론 2015.11.17
庚癸상관에 대하여 ■庚癸상관에 대하여생(生)은 왕하나 설(洩)은 약하니 자기 성질을 못 이기는 금다수탁(金多水濁)이 되며 자연수인 癸수상관은 노력없이 결과만을 얻으려고 한다. 庚금일간을 전문가로 만들어 주는 열, 丁화정관을 癸수상관은 "丁癸충"으로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나쁘나 예외는 金水상관격에 丙丁화 관성이 조후작용을 하는 경우이고 이런 경우에는 육신(六神)의 통변은 관련이 없게 된다. 癸수상관은 순발력, 임기응변(臨機應變)은 뛰어나나 지구력이 약하며 오행의 끝인 癸수상관은 한 번 결정하면 번복하거나 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바로 출력해서 실용적으로 활용하기는 하나 오래가지 않는 것이 단점이 된다. "辛癸식신"은 생하지 않기 때문에 게으르나 "庚癸상관"은 무었.. 천간물상론 2015.11.06
戊토일간에 甲午년에 대한 세운통변 이미지출처/블로그캡쳐 ■戊토일간에 甲午년에 대한 세운통변 ▩戊토일간 + 甲목편관, 午화정인 or 양인 戊토일간은 巳午未월에 비겁이 왕하면 양인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정인이 된다. 일간이 왕하거나 식신제살(食神制殺)이면 편관이고 일간이 약하거나 財星과 官星이 강하면 칠살이 .. 격국론 2015.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