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편재 2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4 / 5

■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4 / 5 ☞ 전장에 이어서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설명이 계속 됩니다. ^^ 辛乙편재 - 예리한 흉기로 화초를 꺽거나 상하게 하는 물상이고 실제로 辛금은 乙목편재를 보기만 하면 흥분하며 빠른 속도로 “乙辛충“을 하려고 한다. “辛甲정재"와는 반대로 너무 설쳐서 문제가 생기게 되며 외부에 보여지기를 좋아하는 辛금일간과 乙목정재이니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것이 흠이 된다. 그러나 신속하게 처리하고 외부로, 남에게 들어나는 일에는 소질이 있으며 정밀하고 투기성이 있으니 잘만 하면 탁월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정확하고 실용적이며 감각적인 의미가 강한 것은 장점이 되고 주색잡기(酒色雜技)로 가는 경우도 많으며 乙목편재에게는 辛금을 감당할만한 통근처가 절실하다. ..

격국론 2020.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