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상생 23

편관의 주변환경

■ 편관의 주변환경 강한 편관격은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일간의 통근력이 가장 중요하게 되며 일간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면 편관격은 칠살격으로 변하게 된다. 편관은 재성을 설기(洩氣)하나 칠살에 편재는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으로 아주 흉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비겁이라도 있어야 할 것이다. 과욕, 과로사, 안전사고 등의 심각한 사건, 사고가 있게 되나 편관격에 적당한 재성은 위험을 내포한 일에 능력을 발휘하니 강한 추진력, 책임감, 희생정신 등이 있게 된다. 재성이 칠살을 생하는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은 먹고 살만하면 예고없이 관재수나 몸수가 터지게 되나 재성이 생하는 편관(偏官)은 근면, 대범, 경영능력, 통찰력, 적극적, 공격적, 정치적이고 다만, 내부적인 일은 소홀하게 된다. 편재가 생하는 ..

격국론 2021.01.02

인성(印星)과 결혼생활 - 1 / 2

■ 인성(印星)과 결혼생활 - 1 / 2 인성(印星)은 받을 복(福)을 의미하고 또한 관성인 남편과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나 관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인성이 태과(太過)하게 되면 재성(財星)이 제 1용신이 된다. 궁합에서 격국용신이 어울리게 되면 길하게 되니 예를 들어 “식신(食神)격 + 정재(正財)격”, “정관(正官)격 + 정인(正印)격”이 되면 궁합이 좋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서로 설기(洩氣)하고 생(生)하는 격국은 어울리고 아름다우나 반대로 충하고 극하는 격국(格局)이 되면 불화하고 싸움이 잦게 되며 서로 등을 돌리게 된다. 곤명(坤命)에서 인성이 태과하거나 혼잡(混雜)하게 되면 관성(官星)을 도기(盜氣)하니 남편이 무능해진다. 이로 인한 본인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어느 덧 가장역할을 하게 되고 무..

육친론 2020.09.10

甲午년을 만나는 己토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己토일간 먼저 일견을 해야 하는 사항은 己토일간은 정성인 甲목정관과 “甲己육합”을 하고 지지의 午화편인과 록지(祿支)에 통근하는 운이 되는 것이니 己토일간이 신약하면 건록이 되고 巳午未월에 명(命)이 조열하면 午화는 편인이 된다. 己토일간은 관성인 木기나무를 키워서 인성인 丙화로 꽃을 피움이 숙명이나 배속되는 다른 오행에 따라서 임무와 모양이 변하게 된다. “己甲丙“의 관인상생은 아름다운 조합이 된다. 己토일간은 木기관성이 있어야 쓸모있는 땅이 되나 반드시 火기인성이 있어야 결과가 있게 되고 己토일간이 습토라 水기재성은 어느 정도는 작용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자연적인 丙화정인이 좋으니 식신제살로 木기관성을 키움이 아니고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키운다. 명분, 원리원칙, 책임감..

운세론 2020.08.14

甲午년을 만나는 戊토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戊토일간 甲목편관에게 戊토일간이 다가가는 운이고 지지의 午화는 정인 혹은 양인이 되는데 여름, 즉, 巳午未월에 비겁이 왕하면 양인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정인이 되며 일간이 왕하거나 식신제살(食神制殺)하면 甲목은 편관이 되고 일간이 약하거나 水기재성(財星)과 木기관성(官星)이 강하면 칠살이 된다. 甲午년은 午화가 정인인지 양인인지에 따라 관에 관한 일이 크게 달라지게 되는데 직업의 변경사, 취직, 승진, 시험의 당락, 인허가의 일 등에서 변화가 예상되는 운이 된다. 일반적으로 甲목편관은 戊토일간에게 강한 정신적인 가치가 있게 해 주며 심리적인 궁합은 서로 잘 맞으나 직선적, 저돌적, 강직함이 단점이 되며 양간과 양간의 조합이니 너무 이상적이고 비실리적이다. 승진, 취직, 인허가 등으로 ..

운세론 2020.08.13

일지에 좌(坐)하는 육신(六神)에 따른 배우자운

■ 일지에 좌(坐)하는 육신(六神)에 따른 배우자운 배우자의 복(福)과 덕(德)을 간명하는 방법은 대운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의 여건을 살펴야 하나 일단은 배우자궁인 일지에 좌하는 육신에 따라 파생되는 배우자운을 살펴볼 수가 있으니 비겁, 식상, 재성, 관성 그리고 인성의 순서로 설명할 것이며 그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일지에 조후(調喉)용신, 억부(抑扶)용신, 재관인식(財官印食)의 4 길신이 있으면 일단은 흉하지 않고 다음에는 어느 정도 길한 가를 살펴야 한다. 아무리 일간이 필요한 용신이라도 4 흉신이 있으면 일단은 흉하다고 간주하고 이를 제화하는지의 여부와 그 정도를 살펴야 하며 육신과 오행을 편중(偏重), 혼잡(混雜)시키는 일지(日支)는 흉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2. 일지에 비겁(比劫)이..

육친론 2020.06.23

己丙정인

■ 己丙정인 木기관성인 나무를 아름답게 키울 수 있게 己토일간을 도와주는 가장 정인다운 丙화정인이 된다. 편성(偏星)인 편인은 티를 내고 자랑하나 정성인 정인은 티를 내지 않으며 꾸준하고 희생을 하는 측면이 강하다. 丙화일간에게 己토상관은 도움이 되지 않으나 己토에게 丙화 정인은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하고 큰 도움이 있는 정인이니 己토일간은 丙화정인이 있어야 木기관성을 키우는데 탁월한 재능이 있게 되고 결과가 생기는 것이다. 己甲丙 丙화정인은 甲목정관을 공익적,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좋은 정인(正印), 즉 실력, 공부, 어머니가 되며 보편적인 공부를 해서 보편적인 행정관료가 됨이 일반적이다. 丙화 정인의 목적은 "화생토(火生土)"의 작용이 아니고 甲목정관을 키움에 있다. 경작지인 己토 일간은..

천간물상론 2020.06.09

戊丁정인에 대하여

■ 戊丁정인에 대하여 戊토일간에 열의 작용을 하는 丁화정인이라면 水기재성을 막아 丁화정인을 보호해 주나 빛의 丁화정인이라면 빛을 차단하고 감추어 버리게 되니 戊토와 丁화의 조합은 길함과 흉함이 극단적이 된다. 주위의 사람들만 아는 실력이나 木기관성이 있으면 戊토를 소토하여 산에 길이 난 형상이 되니 이는 검증된 능력, 실력이 되고 대외적으로 알려지게 되는 것이다. 戊丁甲. 戌토의 지장간에는 辛금과 丁화가 있으니 "戊丁정인"과 비슷하며 이는 화로, 난로, 용광로, 문명 등의 형상이고 이에 합당한 역할을 하며 열의 丁화정인이 공부를 했다면 독보적인 기술자, 장인의 기술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戊丁○/○午巳未"의 명(命)에 金기식상이 없어 戊토일간은 불타버린 산의 형상이 되니 새로운 일을 벌리는..

천간물상론 2020.06.04

己乙편관에 대하여

■ 己乙편관에 대하여 己토일간에게는 乙목칠살을 받아들여야 하는 숙명이 있으나 火기인성이 있다면 살인상생 (殺印相生)으로 乙목편관을 잘 활용하게 되고 金기식상으로 식상제살(食傷制殺)을 하게 되면 적극적인 대처를 하게 된다. 己乙丙. 편성(偏星)이기는 하나 “갑자기”가 해당 안 되는 특이한 乙목편관이라 조용하고 부드럽게 다가오는 乙목편관은 예측하기 어렵다. 한 겨울밤에 조용히 내리는 폭설이나 잡초가 점령한 전답처럼 소리 없이 무서운 작용을 하게 되니 방심하면 칠살이나 귀살에 해당하는 큰 일이 겪게 되는 것이다. 己토일간에게 甲목정관과 乙목편관이 혼잡되게 되면 甲목정관이 정관역할을 못하게 된다. "乙己편재"가 지극히 현실적인 편재인 것처럼 "己乙편관"도 지극히 현실적인 편관이 되며 己토일간은 乙목칠살에게서 벗..

천간물상론 2020.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