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토탁임 12

정관(正官)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정관(正官)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전장에 이어 정관(正官)의 물상론적 접근에 대한 설명을 계속합니다. ^^ 己甲정관 - 甲목정관을 실용적으로 잘 활용하니 己토일간의 활용도가 살아나게 되며 직장이 바뀌면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자기 주장하지 않고 받아들임을 숙명으로 아는 己토일간에게는 변화가 긍정적이다. "戊乙정관"은 능력은 약하나 공적인 정관이고 "己甲정관"은 철저하게 개인적, 실용적인 정관이 된다. 일반적으로 정관은 실용성이 떨어지나 그 중에서 "己甲정관"이 가장 현실적, 실용적이다. 저돌적인 甲목정관을 통해 己토일간이 돈은 번다. 火기인성이 있어야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되어 능력을 발휘하며 실속있는 실관, 정관이 되는 것이다. "己甲정관"은 어지간하면 실용적인 생목으로 보며 생목인..

격국론 2021.01.01

戊토일간의 통변

■ 戊토일간의 통변 “山” 즉, 戊토의 역할은 첫 번째, 木기관성인 나무를 잘 키우니 꽃나무인 乙목정관보다는 동량목(棟樑木)인 甲목편관을 잘 키우고 또한 이에 상응하는 보람도 있게 된다. 두 번째는 水기재성과 火기인성 즉, 물과 더위를 조절하여 다목적 댐을 조성하고 壬수편재와 산림을 보존한다는 것이며 세 번째는 金기식상 즉, 광물채취의 용도이니 특히 庚금상관이 그러하다. 마지막으로는 관광, 휴양, 수련 등의 용도일 것이다. 金기는 계절을 살피지 않으나 戊토 즉, 산과 땅은 반드시 계절인 월지(月支)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우거질 무(茂)”에서 유래된 戊토는 높고 깊은 산처럼 중용, 포용, 조절, 중후, 무게감, 신(信) 등의 상징성이니 브로커, 구심점, 해결사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나 아집..

운세론 2020.07.25

丙화일간의 통변

■ 丙화일간의 통변 “양(陽)의 기운 중에 최고의 양기(陽氣)”인 丙화는 양간을 좋아하고 음간을 꺼려함이 일반적이며 壬수편관을 가지고 甲乙목 인성을 배양하여 결실을 맺음이 제 1의 본분이 되고 지지에 습토인 辰토나 丑토가 있으면 아름다운 조합이 된다. 일과 사물에 대한 분석력이 뛰어나고 솔직, 친절, 온화하며 하늘 높이 떠서 베풀고 만물을 생육하는 미덕이 있으나 성격이 급하고 경솔하니 폭발을 하게 되면 물불을 안 가리는 단점이 있다. 불의 특성상 확 타오르기는 하나 뒤 끝은 없으며 생지(生支)인 寅월의 丙화는 인기가 많은 사람이다. 1. 이러한 丙화일간이 甲목편인을 만나게 되면 본분인 큰 나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이는 꺼지지 않는 불이 되어 임무를 완성하게 되는 팽팽하고 좋은 의미가 있게 된다...

운세론 2020.07.23

辛己편인

■ 辛己편인 戊토정인보다는 덜하나 그래도 매금(埋金)이 걱정되는 상황이다. 己토편인은 丙화정관을 가리고 辛금일간이 필요한 壬수상관을 탁임(濁壬)하는 역작용을 하게 되니 역시 木기재성으로 소토(掃土)해야 丙화정관이 빛나게 되고 水기식상을 잘 흐르게 해야 길하게 되는 것이다. 辛금일간은 직접 木기재성을 다룸이 아니고 水기식상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己토편인에게 항상 木기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습토인 己토편인이 辛금일간이 가장 꺼리는 열작용의 火기관성을 도기(盜氣)한다면 辛금일간에게 길한 순작용을 한다. 생설(生洩)이 안되니 직접적인 관계보다 水기식상과 火기관성의 관계에서 길과 흉의 작용력을 살펴야 한다. 壬수상관을 만나면 辛금일간이 壬수상관을 생해줌이 아니고 壬수자식이 辛금모친을 빛내주는 형상이나 己토..

천간물상론 2020.07.05

丑토가 각 12 지지(地支)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 丑토가 각 12 지지(地支)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사음이양(四陰二陽)인 丑토는 일양시생(一陽始生)하는 子수와 寅월과의 강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나 아직도 음기가 왕성한 상태이다. 丙화나 丁화의 조후작용이 없다면 土기의 역할인 만물을 생육하지 못하게 되며 절기로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 있다. 소의 물상은 과묵, 우직, 정직, 근면성실하고 사음이양(四陰二陽)이니 외면은 조용하나 내면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丑토의 어원은 맬 뉴(紐)이다. 동토(凍土)인 丑토가 水기를 만나게 되면 응결되며 조후를 해결하는 火기가 있으면 火기가 도기(盜氣) 당하고 “토생금(土生金)”의 작용을 하게 된다. “토극수(土剋水)”의 작용은 명(命)에 火기와 土기가 많으면서 己토가 사령하게 되면 약간은 작용을 하게 된다. ..

지지론 2020.06.07

■ 丙화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Image Origin is from blog.■ 丙화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陽 중에 陽”인 丙화는 양간을 좋아하고 음간을 싫어한다. 壬수편관을 가지고 甲목편인과 乙목정인을 배양하여 결실을 맺음이 제 1의 본분이고 지지에 습토인 辰토식신과 丑토 상관이 있으면 길하다.   丙화는 일과 사물에 대한 분석력이 뛰어나고 솔직, 친절, 온화하며 높이 떠서 베풀고 만물을 생육(生育)하는 미덕이 있으나 성격이 급하고 경솔하니 폭발을 하게 되면 물불을 안 가리는 단점이 있다. 불의 특성상 확 타오르기는 하나 뒤 끝은 없다. 생지(生支)인 寅월의 丙화는 인기가 있는 사람이다.   1. 丙화가 甲목편인을 만나게 되면 큰 나무를 키우는 형상이니 이는 할 일이 있어 생기발랄하고 또한 꺼지지 않..

운세론 2019.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