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申금의 동물성에 대하여 申금의 동물성, 즉 원숭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계급사회, 조직체계와 단체생활을 유연하게 하며 애정표현, 잠꼬대, 기침, 하품, 달거리, 하시교접(何時交接) 등이 사람과 동일하며 암컷의 독점만 다르다. 남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능력과 개인기가 뛰어나며 자랑하고 싶은 욕구가 강하며 이해타산적이고 또한 이재에 밝다. 손오공처럼 용감하고 의협심이 강하며 부지런하다. 실력으로 승부를 보려는 근성이 있고 가만히 있지 못하니 경망스러우나 돌아다니는 것 보다는 유동성이 많은 역마성이 된다. 이재에 밝으나 재승박덕(才承薄德)하니 중후함과 자제심이 있으면 좋을 것이다. 만용을 부리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고 모성애가 강하며 선천적인 지혜가 있다. 손오공처럼 다재다능(多才多能)하며 수리능력이 뛰어나니 수학, 공학 등이 적성이 되며 날렵하며 분주하다. 단점은 분수에 넘치는 짖을 하고 경솔하며 과신해서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흉내를 잘 내는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니 申금대운에서는 자만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잔나비의 의미는 잔망(孱妄)스럽다는 뜻이니 이는 잔꾀, 잔재주가 많음을 의미한다. 원숭이는 자식, 애정표현이 섬세하니 부부사이, 조직사, 가정사가 좋으며 사람의 가치관과 사회생활이 가장 많이 닮은 동물이니 사람과 똑 같은 형태, 조직력, 사회적인 동물이다. 손오공처럼 영리, 총명, 의협심, 부지런, 용맹, 모성애가 있다. 단점은 꾀가 많고 조삼모사(朝三暮四)한다는 것이니 역마성 중에서 경솔, 경박한 의미가 강하다. 申시는 하루를 마감하고 헤어지는 시간이니 잔꾀를 부리고 이해타산적이 된다. 원숭이(申)와 말(午)은 서로 공존하는 생활을 하고 "子午충"은 말은 쥐를 보면 놀랜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원숭이(申)를 키우게 되면 쥐(子)가 들어오지 않는다. |
'지지인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申금의 오행과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작용에 대하여 (0) | 2016.03.22 |
---|---|
申금의 사업성에 대하여 (0) | 2016.03.21 |
申금의 시간성과 계절성에 대하여 (0) | 2016.03.19 |
申금의 물상과 애정운에 대하여 (0) | 2016.03.18 |
申금의 자원(字源)에 대하여 (0) | 2016.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