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물상론

辛戊정인에 대하여

기림역학 2015. 11. 6. 19:57

 

 

  

 


■辛戊정인에 대하여


戊토정인이 지나친 사랑과 관심이 辛금일간을 매금시켜 피해를 주니 방안풍수가 되고   편인보다 못한 戊토정인이 된다. 인성이 왕하면 출력하는 식상이 약해지니 비현실적으로 변한다. 계획, 생각은 그만하고 움직이라고 조언을 해야 할 것 이다. 甲목정재의 소토가 절실하니 원래 辛금일간은 甲乙목 재성을 직접 다루면 안  되고 戊토정인을 통제하는    용도로 간접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戊토정인은 절실한 水기의 식상과 火기의 관성을 차단시키는데 甲목정재가 이 모든 것을 해결한다. 辛戊甲癸. 辛戊壬. 辛戊庚.

辰未토에 통근한 乙목편재보다는 간접적이라 영향력은 크지 않지만 지지의 卯목편재의소토가 났다. 소토나 "戊癸육합"으로 매금에서 벗어나야 한다. 매금되면 실용적인 공부, 적당한 기도, 신앙이 아니게 되며 제대로 활용을 할 수가 없다. 독불장군, 마마보이         (Mama-boy)이고 결국에는 모친을 원망하게 된다.

정인 중에 가장 흉한 "辛戊정인"은 정신적인 압박, 간섭, 방해가 심하고 매금시켜 壬癸수 식상의 출력을 상관상진(傷官傷盡)시킨다. 또 丙화정관을 차광시키고 辛금일간이 하고자 하는 일을 戊토정인의 범위로 한정시킨다. 익숙한 환경, 사람, 범위 내의 일에서는 능력을 발휘하나 새로운 환경에서는 능력발휘가 어렵고 인정을 받지 못한다. 똑똑하고 완벽하나 방안풍수이고 戊토정인의 외로움을 더하여 외부와 단절되어 있으며 현실감이 떨어진다. 오히려 "辛己편인"이 더욱 현실적이 된다.

庚금과 달리 辛금은 甲乙목 재성을 직접 활용하지 못하나 戊토정인을 조절하는 용도로만 활용한다. 甲乙목 재성은 水기식상을 조절하고 현실감이 생기며 결과도 나타나니 木기   재성운이 오면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길한 운이 되는 것이다. 연간의 戊토정인은 범위가 정해지니 아주 흉하고 시간의 戊토정인이 가장 좋고 언젠가는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천간에 통근한 甲乙목 재성이 있어야 직접적인 소토가 이루어지게 되고 만약에 지지에   있다면 간접적이니 소토의 작용력이 약하다. 乙목편재의 소토는 약하나 없는 것보다는  났고 천간의 뿌리없는 乙목보다 지지의 卯목편재가 훨씬 났게 되니 乙卯(42)의 소토하는 작용력이 강하다.

辛금일간에 戊토와 戌토가 있고 卯목이 있어 "卯戌육합"을 하면 매금은 분명하나 조절은 가능하니 이는 한정된 범위 내 에서는 활동을 잘 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寅목정재는 오히려 흉하고 未토와 丑토는 매금이 덜 되며 辰토는 乙목이 있어 매금(埋金)이 덜 될 수 있다.

木기재성이 없더라도 辛금일간은 庚금겁재가 있으면 아쉬운대로 활용하며 안주하지 않고 현실적인 눈이 떠지기는 하나 木기재성이 있는 것 하고는 질이 떨어진다. 겁재니 일간의 것을 지키려하고 木기재성에 대해서 욕심을 부린다. 木기재성이 없고 戊토정인에게       매금된 辛금일간은 이론은 강하나 생각이 편협되고 본인을 합리화시키며 현실에서        도피하거나 은둔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戊토정인을 통해 세상을 보니 방안풍수이고 외롭다.

통근이 약한 辛금일간이 戊토정인의 생을 받으면 아집, 고집, 자만심, 외골수이고          헤어나기 힘들게 되며 甲목, 乙卯대운이 와야 길하게 된다. 용도를 도외시한 공부만을    하니 오래 공부하면 활용할 수가 없게 되고 응답없는 기도 자체를 즐기는 형상이다. 木기재성이 없으면 癸수식신은 아니고 壬수상관이라도 강해야 현실감은 약하나마 좁은 범위 내에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木기재성으로 戊토정인의 울타리, 항아리를 깨뜨리는   아픔이 있어야 辛금일간은 성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정인이 왕하니 대개는 집 안이 좋고 빨리 장가를 보내야 좋아진다. 戊토정인의 기운을   설하는 庚금겁재와의 경쟁의식을 심어줌이 좋으니 동생을 보든가 재산상속을 빨리 해   버림도 방책이 된다. 매금은 모자멸자(母子滅子)이고 木기재성인 부친이 힘을 써서      "財극印"을 해야 좋다. 癸수식신이 戊토정인과 "戊癸육합"을 하면 현실감은 생기는데    결실, 결과가 없다.

水기는 흐름이 본성이고 金木인식이 없으면 흐르는 물이 아니다. 인성은 실력, 지혜이니 金기인성이 있어야 오래가고 지혜롭다. 金기인성이 없는 물은 언제 마를지 모르며         탁해지면 쓰임새가 변한다. 금다수탁(金多水濁)이 되면 목표, 이상에 매달리거나 목표를포기, 상실, 자주 바뀌고 비현실적으로 가 버리는 것이다.

왕한 戊토정인은 水기식상을 방해하는 매금을 하고 마마보이(Mama-boy)로 만들며 火기관성을 차단시키는 戊토정인이다. 戊토정인은 정신적이니 아는 것이 병, 방안풍수가 되며 현실감이 없는 정인이며 甲목정재가 절실하다. 辛금일간이 직접적으로 甲목정재를         다룸이 아니고 물을 흐르게 하고 소토하는 용도의 甲목정재이다.

"壬辛戊○"의 命이라면 甲목정재운에 발복을 하게 되며 寅목은 간접적이다. 연월간에  있는 戊토정인의 흉한 역작용이 강하며 시간의 戊토정인은 나중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戊토정인이나 편인의 작용을 하고 辛금일간에게 피해를 주며 아집, 독선, 보수적인 辛금일간인 것이다.

                                                      

                                                       


'천간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辛辛비견에 대하여  (0) 2015.11.06
辛庚겁재에 대하여  (0) 2015.11.06
辛丁편관에 대하여  (0) 2015.11.06
辛丙정관에 대하여  (0) 2015.11.06
辛乙편재에 대하여  (0) 201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