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물상론

庚癸상관에 대하여

기림역학 2015. 11. 6. 14:32

 

 





 

■庚癸상관에 대하여

생(生)은 왕하나 설(洩)은 약하니 자기 성질을 못 이기는 금다수탁(金多水濁)이 되며    자연수인 癸수상관은 노력없이 결과만을 얻으려고 한다. 庚금일간을 전문가로 만들어   주는 열, 丁화정관을 癸수상관은 "丁癸충"으로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나쁘나 예외는        金水상관격에 丙丁화 관성이 조후작용을 하는 경우이고 이런 경우에는 육신(六神)의    통변은 관련이 없게 된다. 

癸수상관은 순발력, 임기응변(臨機應變)은 뛰어나나 지구력이 약하며 오행의 끝인 癸수상관은 한 번 결정하면 번복하거나 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다. 하나를 배우면 바로          출력해서 실용적으로 활용하기는 하나 오래가지 않는 것이 단점이  된다.

"辛癸식신"은 생하지 않기 때문에 게으르나 "庚癸상관"은 무었을 하려는 출력이 안 되고생각만 많게 된다. 순간적인 머리가 좋은 "庚癸상관"이 장사를 하면 아이템(Item)이 자주 바뀐다. 단, 록왕지(祿旺支)의 뿌리가 있는 癸수상관은 들어나는 면은 적을 지라도 꾸준한출력이 좋고 壬수식신처럼 흐르려고 하니 壬수식신의 특징이 나타난다.

출력이 약하고 열, 丁화정관을 못쓰게 하며 庚금바위에 癸수물이 묻어 있으면 丙화편관은 이끼를 만들어 庚금일간을 못 쓰게 하고 변질되게 한다. 또 庚금일간과 甲목편재의 연결고리를 못하니 통관의 문제가 있게 된다. 甲목편재가 정신적으로만 작용하니 비실용적, 비현실적이다.

木기재성과 火기관성이 없고 약한 癸수상관은 잔머리니 면전에서는 아부하고 뒤에서는 비수를 꼽는다. 강한 상관(傷官)은 강자에게 강하고 약자에게는 보호, 희생하며 줄때는  아낌없이 준다. 제화된 강한 상관이 傷官의 장점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다. 강한 傷官이 木火재관이 없으면 봉사와 희생함을 의미하니 NGO, 노동운동, 환경운동 등 木기관성과 대치되고 돈이 안 되는 일을 하게 된다.

후미진 곳, 밤, 어두움 등을 의미하는 水기식상은 어두운 세계에서 보호하고 지키려는   의협심이 살아난다. 食神은 일간이 감당할 수 있는 봉사만을 하나 傷官은 봉사와 희생을 한다. 庚금일간이 녹이 생기는 "○庚癸丙"의 命에서 "庚癸丙/辛"은 丙辛양인합살로,  "○庚癸○/○申巳○○"의 命은 "巳申육합水"로, 戊토편인운의 "戊癸육합으"로 庚금    일간의 녹씀이 완화되니 사주의 주변상황을 살펴야 한다.

癸수상관이 약하면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말만 하니 머리를 쓰는 직업에 종사해야     하며 좌중을 빠르게 반전, 감동을 시키나 결국에는 아무것도 안 하게 되고 중간에서 약한 남을 시키니 얄밉다. 상관은 견관(見官), 설기(洩氣), 생재(生財)의 순서로 작용을 한다. 곤명(坤命)이 이혼을 하게 되면 자식에 올인(All-in)을 하거나 아니면 생재(生財)로 바로 가나 관성이 나타나면 상관견관(傷官見官)으로 간다.

설기가 약하고 균형이 맞지 않는다. 순발력, 잔머리를 잘 굴리니 꾸준한 노력이 아니고   게으르며 노력형이 아니다. 庚금일간의 능력발휘가 안 되고 직업, 아이템(Item)을 자주  바꾼다.  "乙丙상관"은 유행에 앞서가기 때문에 자주 바꾸나 "庚癸상관"은 쓸모없이      바꾸는 차이점이 있다. 癸수상관의 뿌리가 약하면 정말 쓸모없는 상관이고 庚금일간을  녹슬게 하는 역작용만을 한다. 상관이 약하면 편법, 잔머리니 정면승부를 못하고 앞에서는 살살거리고 뒷통수를 친다. 남을 잘 시키고 간섭을 잘하나 정작 본인은 이를 싫어하다.

庚금일간은 생하려는 마음이 강하나 癸수상관은 받을 생각이 없는 형상이고 庚금일간이 좋아하는 열, 丁화정관을 癸수상관이 상하게 하니 머리와 입만 살아있다. 영리하고 임기 응변(臨機應變), 순발력이 빠른 것이 癸수상관이라 자아도취(自我陶醉), 자승자박         (自繩自縛)이 많고 활동력이 약해지고 노력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辛癸식신"도    게으른데 "庚癸상관"은 더욱 게으르다. 청산유수(靑山流水)이기는 하나 일관성이 없고 말을 자주 바꾸니 말을 믿으면 안 된다. 지지의 상관인 子월도 그럴 수 있다.

재주는 많으나 한 직업을 꾸준히 할 수가 없고 결과적으로 끼니가 없게 된다. 癸수식상은 木기재성이 있어야 결과가 있으니 木기재성이 없는 "庚癸상관"은 庚금일간답지 않는   말과 일을 하게 된다. 통근처가 없는 癸수상관이라면 "水생木"의 작용을 못하니 결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原命에 없는 木기재성운이 오더라도 약한 癸수상관은 "水생木"의     작용이 어렵고 "金극木"의 작용이 있게 된다. 통근처가 없는 癸수상관은 실리적이지 않고 헛소리만 한다.

상관은 상대에 따라 작용력이 달라지니 강하면 강한 대로 약하면 약한 대로 반발을 한다.강한 水기상관은 어둡고 힘든 곳에서 들어내는 일을 선호하며 강한 상관은 식신보다     희생과 봉사가 강하다. 상관은 본인이 간섭 받음을 싫어하나 반대로 남을 간섭하고 깔아뭉개고 지시함을 좋아한다. 특히 통근처가 약해서 힘이 없는 상관은 말이나 지시를 기분 나쁘게 하는 것이다.
 



 

'천간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辛乙편재에 대하여  (0) 2015.11.06
辛甲정재에 대하여  (0) 2015.11.06
庚壬식신에 대하여  (0) 2015.11.06
庚辛겁재에 대하여  (0) 2015.11.06
庚庚비견에 대하여  (0) 201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