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乙편관에 대하여 己토일간은 乙목칠살을 받아들이는 숙명이 있으나 火기인성이 있다면 살인상생으로 乙목편관을 잘 활용하고 金기식상으로 식상제살(食傷制殺)을 하면 적극적인 대처를 한다. “갑자기”가 해당이 안 되는 특이한 乙목편관이라 부드럽게 다가오는 乙목편관은 예측하기 어렵다. 겨울철에 소리없이 내리는 폭설, 잡초가 점령한 전답처럼 소리없이 무서운 역할을 하니 방심하면 큰 일이 나게 된다. 己토일간에 甲乙목 관성이 혼잡되면 甲목정관이 정관역할을 못한다. "乙己편재"가 지극히 현실적인 편재인 것처럼 "己乙편관"도 지극히 현실적인 편관이 된다. 己토일간은 乙목칠살에게서 벗어날 수 없으니 위험하다. 즉 좋아하는 甲목정관이 있어도 乙목편관 때문에 좋아하는 甲목정관을 활용할 수 없게 되고 金기식상이 있어도 甲목정관이 다치지 乙목편관은 다치지 않는다. 乙목편관이 기신이면 아주 흉하게 된다. 己토일간 처녀가 乙목편관 애인과 사귀다가 甲목정관 남편과 결혼을 했는데 乙목편관인 전 애인에게서 벗어날 수 없는 형상이다. 火기인성이 있어야 乙목편관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순환주기가 빠른 乙목편관을 오래 활용하면 문제가 생기니 金기식상을 활용해야 길하게 되고 없다면 己토일간이 실속이 없게 된다. 그래서 戊己토 일간은 조절하기 힘든 乙목보다는 甲목을 선호하는 것이다. "戊乙정관"은 정신적인 정관이고 "己乙편관"은 현실적인 편관이니 "戊乙정관"은 정신적인 잔디밭의 운동장이고 "己乙편관"은 실용적인 과수원, 꽃밭이 된다. 土기일간은 木기관성이 있어야 가치가 있어지게 되며 己토일간은 유연하며 다변하고 교묘한 乙목 편관을 숙명적으로 받아 들인다. 음간의 칠살은 강하니 편관이면 金기식상을 쓸 필요가 없으나 칠살이면 金기식상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己토일간은 乙목칠살을 가장 실용적으로 활용하나 乙목 칠살에게서 벗어날 수는 없다. 己토일간은 "甲己육합"을 선호하나 乙목편관이 있으면 활용이 힘드니 乙목편관 때문에 甲목정관이 피해를 입게 된다. 계속해서 乙목칠살인 잡초가 생기니 金기식상으로도 해결이 안 되는 것이다. 곤명(坤命)의 己토일간은 乙목편관을 조심해야 한다. 乙목편관은 甲목정관을 신경도 안 쓴다. 己토일간은 몸은 乙목편관에 있어도 마음은 甲목정관에게 가 있으며 己토편관 남편이어도 甲목정관 같은 남편을 늘 생각한다. 乙목칠살은 칠살같지 않은 七殺이고 유들거린다.
己토일간은 순환주기가 빠른 乙목편관을 현실적으로 활용하는 면은 있다. 火기인성이 있어야 시의적절(Timming)하고 잘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순환이 빠른 乙목편관이되니 자주 바뀌게 되며 오래 쓰면 나쁘고 乙목칠살은 뿌리 째 뽑아야 효과가 있다. 활용을해야 되는 것이 金기식상이고 火기인성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칠살은 외부에서 들어와 나가지 않으니 달래고 때리고 하면서 활용을 해야 하는데 丙丁화 인성을 씀은 달래는 것이고 金기식상을 씀은 때리는 것이다. 乙목편관 입장에서는 己토 일간이 실용적이고 쓸모가 있으니 에델바이스(Edelweiss), 잔디밭이고 戊토는 상징적, 정신적이다.
己토일간은 乙목편관을 숙명처럼 알고 받아들이며 火기인성이 있어야 좋고 또한 乙목 편관을 잘 활용하니 己토와 乙목은 유정하고 묘한 관계가 된다. 제살태과(制殺太過)만 아니라면 庚辛금 식상을 잘 활용한다. 현실적인 편관이고 관에 대한 집착도 강하게 된다. 단점은 己토일간은 乙목편관을 벗어날 수 없으니 乙목편관의 통제력, 점유력이 너무 강하다는 것이고 여기에 甲乙정관이 혼잡되면 아주 흉하게 되는 것이다. 己토일간은 甲목정관을 좋아하는데 乙목편관이 함께 있으면 甲목정관의 역할이 없어지고 乙목이 甲목역할을 대신한다. 己토일간은 甲목정관을 통해 일을 도모하고 싶은데 乙목편관이 있으면 아무 일도 못한다. 寅목은 관련이 없고 金기식상이 있어도 해결이 안 된다. 己토일간이 기신인 乙목칠살을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면 아주 흉하게 된다. 己토칠살 애인이라면 결혼을 한 후에도 관계가 끝나지 않고 甲목정관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이 있게 된다. 乙목편관이 곡식이면 그나마 좋은데 쭉쟁이라면 이혼도 안 되고 좋아하는 甲목정관도 만날 수 없고 심각하게 된다. 끝이 안 나는 乙목편관이나 좋다면 삼모작을 할 수 있는 己토일간이 되기도 하니 결과는 자연산 丙화정인에 달렸다. 특용작물을 키우는 丁화편인은 위험요소가 있다. 또한 土기가 적어도 乙목편관은 기신이 된다. "己甲육합"은 중정지합(中正之合)이나 "甲己육합"은 자빠진 나무니 중정지합이 아니다. 乙목편관은 외부에서 들어오고 물러나지 않고 통제와 조절이 안 되는 편관이다. 辛금식신과 丙화정인으로 조절함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乙목편관은 들어내지 않고 유연한 활동을 하며 교묘하고 예측이 어렵다. 생명력이 강하며 소리가 없고 표도 안 난다. 金기식상으로 제살을 해도 빠져나가니 丙화정인이 있어야 좋다. 乙목이 칠살이 되면 아주 흉하다. 丙화정인이 없고 일간신약, 甲목정관이 있으면 乙목편관의 피해로부터 벗어나기 힘들다. 폭력적인 남편 때문에 골병들고 이혼도 어렵게 된다. 己토일간은 乙목편관에게서 벗어나기 어려우니 이혼 후에도 자꾸 찾아오는 己토 편관이다. 당하고도 己토일간은 마음을 쓰며 己토일간이 화를 내도 乙목편관은 부드럽고 유들유들 다가온다. 그러나 편관이 되면 乙목은 생산성이 있는 곡식, 과일나무가 되며 잘 활용한다. 현실적, 실용적, 순환주기가 빠른 乙목은 현실적응력이 뛰어난 편관이 된다. 반드시 丙화정인이 있어야 결과가 있게 된다. 己토일간은 수용력이 장점이다. 乙목편관은 예측하기 어렵고 조용히 다가오는 교묘한 편관이다. 火기인성이 있으면 乙목편관을 받아들여 꽃을 피우게된다. 火기인성이 없고 金기식상이 있으면 일간 주도적으로 일을 벌리다가 일이 생기게 된다. 甲목정관이 있어도 乙목편관을 받아들이니 己토일간은 남녀관계가 복잡하다. 火기인성이 있으면 좋고 없으면 꽃을 못 피우는 乙목편관이니 도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