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戊辛상관에 대하여 食神은 일간이 중심이 되는 일간만의 대변인이고 상관이 주가 되는 傷官은 비겁인 대중의 대변인이다. 상관은 남들이 알아주면 튀는 언행을 하니 주변을 의식하고 비교평가를 하는 습관이 있다. 처지면 견딜 수 없어 하고 比劫을 잘 활용하며 그래도 안 되면 방해를 한다. 잘 나가는 比劫에게는 경쟁심리가 발동한다. 악동, 청개구리인 상관은 하라면 안하고 하지 말라면 오기로 더 한다. "乙丙상관"이 가장 좋은 傷官이고 "戊辛상관"은 호연지기의 큰 뜻이 있는 戊토일간에 매금을 당하는 辛금상관이니 가장 불만이 많은 상관이 된다. 변명을 하고 언행이 삐딱하며 반골기질이 강하고 국외자(Out-sider)가 된다. 식신은 단순봉사만을 하는데 傷官은 희생도 하니 강한 傷官이 제화가 잘 되면 아주 길하다. 그러나 "戊辛상관"은 傷官의 장점이 나오기 힘드니 戊토일간의 무한한 자원과 능력을 辛금상관이 활용을 못하는 형상이다. 매금된 상관은 단점만 나온다. 酉금의 통근과 소토하는 甲목편관이 길한 순작용을 한다. 乙목정관이 오면 "상관견관(傷官見官)에 유화백단(有禍白段)"이라고 하며 소토는 위치 별로 작용력이 다르다. 고서에는 "土金상관"은 木기관성을 꺼린다했으니 이는 "戊辛 상관"에 乙목정관을 의미하는 것이다. 乙卯의 정관이 辛금상관보다 강하면 소토해서 활용할 수는 있으나 일이나 과정이 매끄럽지 않다. 또한 辛금상관이 丙화편인을 합거(合去)하니 흉한 역작용이다. 상관견관(傷官見官)하면 수단방법을 안 가리고 도박, 밀수, 사채 등의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나 성사되지는 않는다. 辛금상관은 丙화편인 이전에 壬수편재를 가장 좋아한다. 壬수편재가 있으면 세공이 잘된 보석이고 빛, 丙丁화 인성이 비추어 주면 아주 길하게 된다. 戊토일간이 壬수편재를 통제하니 재물은 벌 수 있다. 왕한 戊토일간에 辛금상관은 볼품없는 바위이고 戊토일간이 약하다면 멋있게 나온 장군봉(將軍峰)이 된다. 亥子丑월이라면 골짜기의 바위이고 丙丁화 인성이 없으면 기도하기 좋은 축축한 골짜기의 바위이지 사람들이 방문해서 쉴 수 있는 바위가 아니다. 무속인, 땅꾼, 심마니들만 방문을 한다. 木기관성과 火기인성이 있어야 조율해서 활용할 수 있는 "戊辛상관"이 되는 것이다. "戊辛상관"은 매금을 우려하고 戊토일간은 설기가 약하니 서로가 불만족스럽고 스트레스(Stress), 부정적, 반골적, 반항기질이 있으니 청개구리인 辛금상관이고 단체생활도 못한다. 辛금상관은 매금과 열, 丁화정인을 가장 싫어하며 甲목편관, 酉금이 필요하게 된다. 乙목정관이 있으면 소토도 안 되고 바로 상관견관(傷官見官)하니 꼬여있는 일간이고 문제가 많다.
주도권을 쥐는 戊토일간 입장에서는 작은 辛금상관이 매금(埋金)되니 불만족스러운 상관이며 이는 이용하고 싶은 양간의 比劫이 오면 辛금상관이 묻혀 버리기 때문이다. 일간 마음대로 안 되니 스트레스(Stress)를 받는다. 庚금식신이 있으면 매금이 아니고 食傷을 잘 활용하나 辛금상관은 혼잡으로 인해 비교평가가 되는 불만은 있다. 甲목 편관이나 酉금 록지가 있으면 매금이 되지 않으니 능력발휘를 할 수 있는 傷官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