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Origin / Blog Captured ■절지(絶(胞)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60甲子 중에서 절지(絶(胞)支)는 甲申(21), 乙酉(22), 庚寅(27) 그리고 辛卯(28)의 4 개의 간지가 있다. 절지(絶(胞)支)의 상태는 지극히 정적이고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무념무상(無念無想), 무극(無極)의 상태이나 무었인가 새롭게 시작하는 단계가 된다. 비겁(比劫)은 시아버지, 며느리, 형제를 의미하고 궁위(宮位)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하니 연주는 부모, 월주는 형제, 일주는 부부 그리고 시주는 자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비겁이 절지(絶支)에 있으면 형제가 없는 것과 같고 그 절지와 충(沖)을 하는 운은 천간의 육친, 즉 비겁에 문제가 발생하는 운이 된다. 월지(月支)는 타고난 천성이고 형제이니 월지가 절지(絶支)라면 월지를 형충을 할 때 그 운에 분리되고 떨어져 나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지(時支)는 미래를 의미하고 시지가 비견과 일간의 절지가 된다면 말년에 형제들과 고독해 진다. 식상(食傷)은 자식, 빙모(丈母), 조모(祖母)이고 절지(絶支)는 떨어짐, 이별을 암시하니 자식을 시부모가 키운다거나 건강이 나쁘거나 일간이나 자식이 발육이 늦거나 왜소할 수가 있다는 통변을 한다. 연주와 월주의 재성(財星)이 절지가 되면 빙모(媤母), 부친과의 인연이 박하게 된다. 건명(乾命)에서 처는 일지(日支)에 인종하여 통변한다. 재성의 절지(絶支)는 일간의 비겁 (比劫)자리이니 보통 군겁쟁재(群劫爭財)의 흉한 역작용이 나온다. 1 ~ 2 번 째의 대운은 부친을, 3 번 째 대운은 처에 관한 통변한다. 재물이 절지가 되면 많이 벌고 많이 쓰니 부침과 우여곡절(迂餘曲折)이 많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 재물과 처 중에 하나는 흉하고 나머지는 길하게 되니 만약에 남편이 부실하다면 며느리가 좋게 된다는 통변이 가능한 것이다.. 곤명에게 관성이 절지가 되면 이혼, 생리사별(生離死別)의 가능성이 있게 되며 또한 관성은 며느리니 남편이 부실하다면 며느리는 좋게 되는 것이다. 인성이 절지(絶支)가 되면 부모와의 사이가 단절된 상태이니 생리사별과 이산가족이 될 수도 있다. 육친과 12 운성과 각자의 궁위에 대입하고 육신, 육친을 입혀서 종합적으로 판단을 해야 하는 것이다.(훈)
|
'12 운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지(養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0) | 2015.10.01 |
---|---|
태지(胎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0) | 2015.10.01 |
묘지(墓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0) | 2015.10.01 |
사지(死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0) | 2015.10.01 |
병지(病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0) | 201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