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운성론

쇠지(衰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기림역학 2015. 10. 1. 01:50

 

 

 

■쇠지(衰支)를 활용한 12 운성 해석법

60갑자에 쇠지(衰支)는 甲辰(41), 乙丑(02), 庚戌(47) 그리고 辛未(08)의 4 개의 간지가 있다. 쇠지는 절정기인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 은퇴한 시기에 해당이 되며 해당 육친   (六親)이 정신적으로는완숙한 상태이고 가장 편안한 상태가 된다. 식상(食傷)이 쇠지에   해당되면 어른같은 어린아이이고 패기가 없는 애늙은이와 같으나 한 길로 정진하게 되면 성공한다. 양간은 통근해서 기운이 남아있으나 음간은 통근을 못하니 기운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쇠지(衰支)의 육친(六親)은 정신적인 것을 좋아하고 이해심이 많은 육친인 것이다.

재성(財星)이 쇠지(衰支)에 해당되면 현모양처(賢母良妻)이다. 육친(六親)상으로는      나쁘지 않으나 약하니 형충파해(刑沖破害)운에 문제가 발생한다. 지혜로우나 활동력과  건강은 좋지 않다. 辰戌丑未인 대지(帶支)와 같이 무병(巫病), 신병(神病)이 올 수가 있고매사불성(每事不成)이 되면 이사를 해야 할 것이다. 아이들은 애 늙은이와 같고 어른은  인내심이 많으며 완숙하고 내조와 외조를 잘 한다. 대지(帶支)는 일간이 잘 되고 싶다는 생각이고 쇠지(衰支)는 일간이 잘 해주고 싶다는 마음이다. 가장 안정되고 편안한 곳인  반안살(攀鞍殺)은 쇠지(衰支)와 같은 의미가 된다. 쇠지(衰支)에 있는 재성(財星)은      처음에는 돈이 있으나 갈수록 쇠약해 진다.(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