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토가 酉금을 만나는 경우의 통변
묘고지(墓庫支)인 未토가 왕지인 酉금을 만나게 되면 조토(燥土)와 조금(燥金)의 만남이니 우선은 조후를 해결하는 水기를 찾아보게 된다.
申금이 공협이나 격각이 되고 未토가 申금을 생하는 것과 酉금을 생하는 것은 차이점이 크게 되니 이에 대한 차이점을 잘 알아야 할 것이니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전장의 未토가 申금을 만나는 경우를 다시 읽어볼 일이다.
未토가 酉금을 생하는 것 같지만 격각(隔角)을 이루게 되면 未토는 “亥卯未삼합”으로 木기에 힘을 실어주게 되니 未토인성으로부터 “토생금(土生金)”의 작용을 기대하던 酉금은 배신감을 크게 느끼게 되니 未토는 인성의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고 木기를 지향함으로써 酉금에게 배신감과 부담을 주는 것이 격각의 역작용인 것이다.
未토와 酉금(食神)의 조합은 열토(熱土), 조토(燥土), 그리고 조금(燥金)이니 “토생금(土生金)” 의 순작용이 아니고 未토입장에서도 酉금의 설기(泄氣)는 어렵다. 申금은 未토를 도기 (盜氣)할 정도로 설기력이 좋다. 水기가 있어야 “미생유(未生酉)”의 순작용을 하게 되나 土기가 중중하다면 매금(埋金)의 우려가 있게 된다.
火기가 많으면 "巳午未방합"을 이루어 “화극금(火剋金)”을 하니 酉금의 작용력이 변질되며 酉금운에 水기가 없다면 “토생금(土生金)”이 되지 않아 酉금의 고립을 초래하여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木기가 없다면 매금(埋金)의 우려가 크게 된다.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未토가 亥수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0) | 2021.08.31 |
---|---|
未토가 戌토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0) | 2021.08.28 |
未토가 申금을 만나는 경우의 통변 (0) | 2021.08.26 |
未토가 未토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0) | 2021.08.25 |
未토가 午화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