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론

정관과 편관

기림역학 2020. 11. 24. 17:00

정관과 편관

 

권위적, 소속감, 위계질서, 승부욕 등이 강한 관성이 중요하게 쓰이면 출세지향적이며 강한 업무추진 능력에 대민봉사를 통해서 일을 처리하고 비노동적인 요소가 많다. 인성은 자격, 실력, 출신, 배경 등을 바탕으로 하는 정신노동이고 자율성이 있는 반면에 관성은 규격화, 정규적, 원칙적, 타율적인 면이 강하고 명분과 원칙, 책임감, 수행능력 등을 따지며 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통성이 떨어진다.

 

출세를 위해 타인을 누르고 본인의 소관이 아니면 관심이 없으며 품위유지, 청렴결백(淸廉潔白), 권위적인 경향이 있다. 정관이 상기의 성향이 강하고 편관은 상황에 따라 반응하니 비교적 융통성이 있으며 예를 들면 군대에서 사조직인 하나회 같은 분위기가 될 것이다.

 

전체적, 대중적, 공적인 정관과는 달리 편관은 조직에서 개인적인 충성을 하며 적극적, 독자적, 강압적, 일방적이다. 개인적인 의리와 우두머리 기질이 있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며 급변하는 욱기도 있으며 관성이 용신이면 집행하는 계통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인성이 용신이면 기획이나 사무계통이 적성이 될 것이다.

 

관인상생(官印相生)이면 관성을 유지, 보호하는 행정관리를 잘하고 인성에 근접하는 속성이 있게 된다. 비겁이 왕한 상황에서 관성이 격국용신이면 단속, 집행, 탈세 등을 잡으러 다니는 직종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인성이 없으면 몸으로 때우는 삼디(三D) 직종에 종사하게 된다.

 

편관이 격국용신이 되면 정치가, 군인, 경찰, 교도관, 세무서, 소방서, 경비 등 조직과 연관된 직종의 일이 좋으며 양인격에 편관용신이 잘 갖추어져 있으면 대기업의 총수, 고위직이 된다. 정관은 평준화된 직책이나 편관의 직책은 하늘과 땅의 차이가 있으며 대인관계가 복잡하고 마당발이며 명예욕이 강하고 자신을 개인적으로 인정해 주면 견마지로(犬馬之勞)의 충성을 다한다. 이러한 문점자에게 단점부터 이야기하면 상담이 안 될 것이다.

 

관인상생은 속마음을 시원하게 표현하지 않으며 원리원칙(原理原則)에 어긋난 소통은 힘들고 개인적인 사업을 한다면 관과 연계된 일은 좋고 대중을 상대로 하는 서비스업을 절대 불가하다. 자금도 은행이나 처를 통해 조달하고 기복이 심한 사채 등은 이용하지 않으며 체면 때문에 고객은 드물고 비겁을 극제하는 용도가 되면 자영업이 많다.

 

관성이 약하거나 편중되어 있으면 관에 대한 편견, 불평불만, 소외감, 열등감이 있고 직업의 변화가 많으니 이는 꾸준한 사회생활이 힘들다는 의미이다. 사업을 한다면 프랜차이즈, 시스템화된 사업, 납품, 하청업, 용역사업, 관청에 딸린 매점이나 식당 등 관을 낀 사업을 해야 할 것이며 비겁이 왕한데 관성용신이 약하면 노점상, 노가다이고 삼디(三D) 업종이다.

 

관성이 약하면 공익정신이 떨어지고 극히 개인적이며 신용 또한, 약한 사람이 된다. 월주의 관성이 가장 오래가며 편관은 제화가 되어야 하며 제화가 좋으면 합리적, 긍정적,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봉사하는 정신으로 일을 하게 된다.

 

곤명(坤命)에게 월주에 편관이 있고 제화가 잘 되어 있으면 여걸이며 제화가 좋은 월주의 관성은 본인이나, 조직, 직장, 집 등의 관리를 잘 한다. 년주의 정관이면 명문가 출신이며 조발(早發)하나 일찍 끝날 우려가 있고 명분과 체면치례를 중요하게 생각을 한다. 편관이면 별정직이 많으며 일지나 시주의 관성은 활동폭이 줄어들고 대기만성(大器晩成)이며 계획적, 미래지향적이다.

 

일지에 정관이 있으면 정확하고 반듯한 사람이기는 하나 처에게는 피곤한 남편이 될 것이며 시주의 편관은 어변용(漁變龍)을 꿈꾸는 입지전적인 사람이고 용(龍)이 되기 전까지 야망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하는 사람이며 말단부터 시작해서 성공하는 공무원처럼 보이지 않는 야망이 있게 된다.

 

시상일귀격은 시주의 편관을 용하는 명(命)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칠살은 년월일시로 내려갈수록 흉하게 작용한다. 시주의 칠살은 범죄 등의 나쁜 일로 매스컴(Mass-com.)을 타는 사람이나 시주의 편관이 격국용신인 경우에는 의지력이 강하고 갈수록 빛이 나는 사람이 된다.

 

격국용신인 편관이 약하게 되면 책임감이 없으니 개운법으로는 반드시 약속을 지키고 책임을 지는 습관이 중요하며 복장이나 언행을 단정하게 해야 하고 확인하고 점검하는 습관을 키워야 한다. 또한, 윗 사람에게 잘못하니 잘 모시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통솔력도 약하니 아랫사람을 못 다스리고 자신을 통제하거나 관리가 안 되는 단점이 있으니 이를 극복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한다.

 

관성과 인성용신 특히, 인성이 용신인 경우에는 평소에는 무리없이 잘하다가 인성을 파극할 정도로 재성인 술을 먹게 되면 인성이 파괴되어 관재수, 손재수가 우려가 되니 항상 조심해야 할 것이며 탐재괴인(貪財壞印)의 역작용을 하여 인성을 파극하는 재성에는 뇌물, 여자, 주색잡기 등도 포함된다.

 

 

'격국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격 - 1 / 2  (0) 2020.11.26
정인과 편인  (0) 2020.11.25
■ 정재와 편재의 다른 점 - 2 / 2  (0) 2020.11.21
■ 정재와 편재의 다른 점 - 1 / 2  (0) 2020.11.20
■ 식신과 상관의 다른 작용력  (0) 2020.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