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庚己정인에 대하여
庚금과 辛금일간은 土기인성을 반기지 않으나 간접적인 인성은 수용한다. 庚금일간은 "금생수(金生水)"의 목적이 분명한데 土기인성에게 水기식상의 출력을 방해 당하니 이것이 토다매금(土多埋金)의 흉한 역작용인 것이다. 木기재성이 있어야 비로소 水기식상과 火기 관성이 살아나게 되니 庚금일간에게는 木기재성이 아주 중요하게 된다.
생(生)과 설(洩)의 작용에서 庚금일간은 己토정인을 끌고 다니니 부모, 선생님, 선배 등의 생각과 가치관을 자기 나름의 생각으로 끌고 나가며 힘이 균등하다면 매금의 역작용은 없으나 甲목편재가 있고 土기인성이 간접적으로 있으면 아주 길한 조합이 된다. 庚己甲.
庚금일간에게 할 일을 의미하는 甲목편재를 己토정인이 합거(合去)해 버리니 가장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며 丙화편관은 빛이라 역작용은 덜하나 열의 丁화정관은 己토정인이 도기하여 火기관성이 무기력해지니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고 좋은 사주라고 하면 안 될 것이다. 윗 사람이 관성을 무력하게 만드는 형상이다.
이러한 경우에 곤명(坤命)이라면 丁화정관 남편이 점점 무력해지고 나중에는 아내에게 의지하게 됨을 통변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곤명의 양간(陽干)들은 남편을 무시하고 배우자와의 인연이 약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庚금일간이 가장 덜하니 그 이유는 강한 庚금일간이 경제권을 쥐게 되면 丁화남편은 庚금일간에게 의지하나 庚금을 녹여주는 丁화정관인 남편을 무시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庚금일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甲목편재는 위치와 통근력이 중요하게 되는데 "○庚己甲"의 명(命)은 활용하기 어렵고 "○庚甲己", "己庚甲○"의 命은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己토 편인이라 공인중계사 자격증을 취득했는데 현실감을 의미하는 木기재성이 약하게 되면 장롱 자격증이 되는 형상이다.
木기재성이 없으면 火기관성을 도기(盜氣)시켜 무력화시키니 丁화정관도 木기재성이 있어야 관인상생(官印相生)의 순작용이 제대로 작용되는 것이다. 지지의 寅목과 卯목재성은 천간의 戊토와 己토인성을 간접적으로 제화하고 丑토와 未토는 간접적인 정인이니 더욱 좋을 수 있다. 통제는 직접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생함은 간접적인 것이 좋은 것이 되며 없는 것 보다는 간접적이나마 있는 것이 더 났다.
"○庚己丁"의 명(命)은 활용을 못하고 갈수록 무기력해지는 丁화관성이 되며 "○庚丁己"의 命은 역시 활용하기는 어려우나 앞에 있는 것 보다는 났다. 庚금일간은 특히 열작용을 하는 丁화관성을 직접 보아야 하는 것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마음으로 공부를 하는데 결과를 보려면 생목(生木)이든 사목(死木)이든 甲목편재가 있어야 한다. "○庚甲○/○寅卯辰/己"의 명(命)에서 己토정인운은 왕성한 甲목 편재를 계획성과 현실감이 있게 만들어 주는 운이 된다.
金기는 완성됨, 장년기, 원숙해진 상태이고 더 이상 성장이 필요없다는 의미이니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극(剋)과 설기(洩氣)가 심하지 않으면 인성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니 이는 패기와 자신감은 좋으나 인격, 수양이 부족한 일간임을 의미한다.
간접적인 土기인성은 선호하기는 하나 직접적인 土기인성에 의해서 강해짐을 싫어한다. 그러나 정작 필요하면 엄청남 힘으로 받아들인다. 설기(洩氣)를 가장 좋아하는 庚금과 辛금일간에게 강한 土기인성은 설기(洩氣)를 방해하니 이에 대한 피해의식이 있게 되는 것이다.
양간은 정신적, 명예적, 공적이고 음간은 실용적, 현실적, 실리적, 사적인 특성이 있으며 이 중에서 癸수와 己토가 가장 음적(陰的)이고 가장 양적(陽的)인 것은 "丙화, 甲목 그리고 戊토의 순서"이다.
상생(相生)은 일방적이 아니고 서로가 서로에게 생을 한다는 의미가 되며 상(相)의 의미는 "보다", "생김새", "다스리다", "상호작용" 등의 의미가 있고 생(生)의 작용은 역생(逆生)과 순생(順生)의 작용력을 살펴야 하는데 이는 "살리다", "낳다", "보호하다", "키우다", "본성을 일으키게 하다" 등의 의미가 있게 된다.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작용력에서 "목생화(木生火)"의 작용은 생하면서 변화하게 되나 "토생금(土生金)"의 작용은 土기가 金기로 변화함이 아니고 金기가 머무는 환경과 여건을 만드는 것이다. 金기는 "금생수(金生水)"의 작용으로 水기로 화함이 목적이 되는데 그 水기를 土기가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출력을 방해하거나 못하게 함이 매금(埋金)의 흉한 역작용이니 그래서 木기재성이 절실하게 되는 것이며 金기일간에게는 "토극수(土剋水)"의 역작용으로 식상으로의 출력이 나빠짐이 가장 치명적이다.
"庚己정인"은 己토정인에 의해서 庚금일간의 특성이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庚금일간이 己토정인의 가치를 결정하게 되니 설기(生洩)의 작용력은 어느 쪽에 주도권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설기나 극이 심할 경우에만 己토정인을 좋아하게 되며 庚금일간은 통근력이 강하면 己토인성에 대한 개념이 없고 신경도 안 쓴다. 다만 己토인성을 통해서 다른 것을 끌어들이니 이는 己토인성을 통해서 木기재성을 이룸을 의미하는 것이다.
庚금일간은 水기식상의 출력을 가장 선호하는데 土기인성이 이를 방해하고 왜곡하니 간접적인 土기인성을 선호하게 되는데 이는 土기인성이 지지에 있는 경우와 木기재성이 있는 경우가 해당된다.
두 번째는 열의 작용을 하는 丁화정관을 己토정인이 도기하여 火기관성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싫어한다. 己토편인 때문에 열의 丁화정관은 열이 약해지고 빛의 丁화정관은 빛이 희미해지게 된다.
水기식상이 왕하게 되면 己토편인은 탁임(濁壬)하니 통제도 못하면서 水기식상의 순작용을 방해한다. 총명하며 적응력이 좋고 선비의 기상인 금백수청(金白水淸), 금백쌍청(金白双淸)인 庚금일간을 己토인성은 방해하고 火기관성도 약하게 만든다. 己토정인인 지식, 덕, 학벌 등이 도움이 안 되고 친정이 설쳐서 도움이 안 되는 형상이다. 잔머리, 간사한 언행 등으로 처신이 가벼워지고 庚금일간의 순수, 우직, 터프한 품격을 떨어뜨린다.
그러나 너무 길흉(吉凶)에 치우친 통변은 무리가 있고 실제로는 재물도 잘 벌고 남하고 잘 어울릴 수 있으나 다만 선비의 고고함은 탁해지고 정신적, 학문적인 측면이 나쁘다는 것이다. 己토정인이 癸수상관을 패인(佩印)하면 금백수청(金白水淸)의 庚금일간의 호연지기, 기상이 탁해지나 실제적으로는 재물은 많이 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니 상극상생의 작용력을 길흉개념으로 너무 치우치게 되면 정확한 통변이 어렵게 되니 유의할 일이다.
己토정인은 열의 丁화정관에 의한 제련을 방해해서 火기관성을 무력하게 하니 진정한 의미의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어려우며 己토정인인 학벌, 출신, 계보, 친정, 자존심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丑未토 정인이나 木기재성이 있으면 己토정인을 조절하게 되니 현실적, 실리적으로 변하며 가치가 있어 진다.
그러나 왕한 己토정인이 있는 庚금일간은 木기재성이 있더라도 정인인 실력, 자격증, 배경, 학연, 지연, 동문, 윗 사람의 도움 등으로 성공할 수는 없는 것이고 재성의 결과와 실적을 보여주어야 하니 실전적인 경험이나 일로 불리한 요소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천간의 재성이 통근할 수 있는 운이 오면 재성이 현실화되는 운이다. 비실용적인 己토 정인을 木기재성이 현실화시켜주니 인성의 단점을 재성으로 보완해야 하며 관인상생 (官印相生)도 木기재성이 있어야 火기관성의 도기(盜氣)를 막아주는 것이다.
丁화정관에 己丑토 인성은 갈수록 기운이 빠지게 되니 발전을 못하게 되고 丁화정관 남편도 무능해지나 木기재성이 있으면 지속성을 유지한다는 의미가 된다. 지지의 卯목정재만 있어도 己토정인을 직접적인 통제는 못해도 적어도 설치지는 못하게 하니 괜찬다.
"○庚丁己", "○庚己丁", "丁庚○己"의 명(命)에서 丁화정관이 庚금일간 가까이 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丁화정관이 년간(年干)에 있다면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순작용이 아니라 庚금을 직접적으로 녹이기 힘드니 불편한 관성이 된다.
"庚戊편인"은 "庚己정인"보다 庚금일간이 실리적, 현실적인 생각을 갖기는 하나 그런 계획과 생각으로 일을 추진은 하는데 木기재성이 약하거나 없다면 현실화 되지 않음이 단점이 된다. 庚금일간에게는 사목(死木)이나 생목(生木)에 관계없이 甲乙목 재성이 있어야 비로소 결과가 있게 된다.
庚금일간은 木기재성인 여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좋아지게 되며 또한 경쟁자가 있어야 성장하게 되니 도전을 해야지 안 하게 되면 죽은 명(命)이 될 것이다. 木기재성을 끌어 들이기 위해 土기인성을 사용하니 미끼, 선전용, 홍보용인 土기인성이 되며 木기재성이 없는 己토정인은 전혀 쓸모없는 인성이며 목표의식도 없다.
개운법으로 木기재성이 없는 건명(乾命)은 아내의 말을 잘 듣고 살아야 할 것이며 金기비겁 운이 온다면 있는 재성도 쳐 버리는 운이 되고 명(命)에 없던 오행은 대운에서 와야 만이 기대 이상으로 활용을 할 수 있게 되고 세운에서 온다면 제대로 활용도 안 되면서 문제만 일으키는 운이 된다.
庚금일간은 土기인성의 도움으로 木기재성을 다스림이 아니고 스스로 木기재성을 다스리나 土기인성이 있어야 木기재성이 오게 되니 土기인성을 수단, 통로로 활용한다. 水기식상이 있다고 木기재성이 꼬임이 아니고 土기인성인 문서로 해 놓아야 木기재성이 오래가게 되니 이것이 음양이고 상극관계인 것이다.
木기재성이 없는 자식은 모친인 土기인성이 앞장을 서야 결혼을 하게 되고 또한 오래가게 되니 이는 재능, 인품 등을 의미하는 土기인성이 있어야 만이 木기재성이 오래 갈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남을 이기기 위한 도구, 무기, 수단으로 土기인성을 활용하니 土기인성인 학위도 木기재성을 위한 통로가 되는 것이다.
"○庚己○"의 명(命)에 甲午년의 세운통변을 살펴보면 “己토정인(정성) + 甲목편재운(편성), 지지의 午화정관”의 조합이 되며 자격증(證), 공부, 실력, 계획, 이권개입, 부동산투자, 준비한 것 등으로 바로 재테크(財-tech) 활동에 들어가 편재의 결과를 보려고 하는 운이 된다.
"甲목편재와 己토정인의 甲己육합"이니 간판을 걸고 폼나게 하고 甲목편재니 유아원, 학원, 노인요양시설, 공방(工房) 등의 일을 하게 되거나 예술, 문화, 종교, 교육활동 또는 공간을 확보한다. 내적인 정인과 외적인 편재의 육합이니 결과가 긍정적이다.
공부 등의 己토정인을 위한 투자를 하게 되거나 실제적인 행동으로 옮긴다. 자격증을 팔거나 대여 또는 자격증(證)을 이용한 사업 즉, 지식이나 아이디어(Idea)를 파는 일이나 출판 등의 사업을 한다. 이성인 甲목편재를 문서화시키니 빠른 결혼이 성사되고 사업, 결혼 등을 법적인 신고부터 해놓고 도모한다. 프레미엄(Premium)이 붙는 것에 당첨되는 일도 생긴다.
丁화관성이 있다면 甲午년이니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잘 되는 운이니 인정을 받게 되고 공식화 되며 또한 업그래이드(Up-grade)가 된다. 반대로 신약재다(身弱財多)한 명(命)에서 신약한 己토정인을 甲목편재운이 와서 육합을 하면 돈, 재물, 여자 등에 욕심을 부리다가 손재수(損財數)에 관재수(官災數)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庚금일간에 甲목편재운은 욕심을 부리다가 己토정인과 육합을 하게 되니 문서를 잃어버리는 일도 생긴다. 甲목편재의 과한 욕심 때문에 己토정인의 가치관이 흔들리니 이는 火기관성의 유무에 따라 그 작용력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며 인성인 멘토, 윗사람, 신앙 등에 회의감이 오기도 한다.
이에 대한 결과로 편재의 특성인 항마, 역마, 주색잡기(酒色雜技), 이성에 빠지는 생활을 한다. "子午충"이 되면 상관견관(傷官見官)이 되나 子월이라면 조후작용을 하게 되니 흉하지는 않을 것이다.
"○庚○己/○辰○未"의 명(命)에 甲午년의 "甲己육합"에 대한 통변을 살펴보면 甲목편재와 己토정인이 “甲己육합”을 하게 된다. 년주(年柱)니 寅卯辰월인 봄에 발생한다. 년간과의 육합이니 기득권자, 명령권자, 인허가권자, 친구에 동창처럼 제 3 의 인물에 의해서 일이 발생한다.
대지, 천재지변(天災地變), 담장, 울타리, 개종, 신앙, 해외나 먼 곳에 관한 일, 기억에 없는 옛날 일, 대출, 오래되고 재발되는 질병, 가족력의 질병, 윤달이면 이장, 유품, 족보, 호적에 관한 문제가 발생한다.
己未 대신에 己卯라면 "甲己육합"은 己토정인이 약하므로 사주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己토 정인이 흔들리게 되니 己토가 나무 위의 흙이 되는 것처럼 "목극토(木剋土)"의 작용을 한다. 바탕인 년주(年柱)의 己토정인이나 甲午년에는 "재극인(財剋印)"의 현상이 발생한다.
처음, 시작, 개척, 승부, 난관극복, 정면돌파, 주인의식, 희망, ~ 長 등이 甲목의 성향이다. 강한 己토정인에게 甲목편재가 묶인다면 논밭에 자빠진 나무가 될 것이다. 甲목편재가 강하면 서두르고 저돌적이며 주위를 살피지 못하고 맹목적이나 庚금이 있다면 함부로 하지는 않는다.
甲목과 乙목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甲목은 한 번 슬럼프에 빠지게 되면 회복이 어렵고 곧고 저돌적인 성장을 하고 乙목은 주변을 살피고 어울리면서 성장한다. 甲목은 정신적, 이상적, 미래 지향적이고 乙목은 현실적, 물질적이다. 과일이 열리면 실질적인 乙목이고 열리지 않았으면 정신적인 甲목인 것이다.
양간은 ⑴겁재와 편관(陽刃合殺) ⑵상관과 편인, ⑶정재와 비견, ⑷정관과 식신, ⑸정인과 편재와 육합을 하고 음간은 ⑴비견과 정관(郡比爭官), ⑵식신과 정인, ⑶편재와 겁재, ⑷편관과 상관, ⑸편인과 정재가 육합을 한다. 이러한 공식에다 천간육합은 의도된 계획이 없이 본능적임을 섞어서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庚己정인"은 주도권이 庚금일간에게 있으니 己토정인이 庚금일간을 생함이 아니라 庚금 일간이 己토정인의 가치를 결정한다. 실용적인 가치관은 좋은데 비실용적인 己토정인은 水기식상과 火기관성이 필요한 庚금일간에게는 좋은 점이 없다. 지식, 학벌, 계획 등인 己토 정인은 금백수청(金白水淸)인 庚금일간을 흐리게 하고 품격을 떨어뜨리며 아는 것이 병이다.
壬수식신과 열의 丁화정관을 잘 활용하는 庚금일간에게 己토정인은 丁화정관을 회광하고 水기식상을 탁임시키니 관인상생(官印相生)을 못하게 하는 것이며 가문, 학벌 등이 좋아서 취직을 하거나 결혼하기 힘든 형국이 된다. 己토정인이 억부용신이라면 火기관성인 남편을 무력하게 한다.
"庚己정인"격에서 木기재성 용신은 재인불애(財印不碍)이니 木기재성이 있어야 비로소 火기 관성이 살아나게 되고 실용적인 己토정인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