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법

일진법(日辰法)에서 활용되는 12 신살에 대하여

기림역학 2020. 2. 11. 16:57

 

 


일진법(日辰法)에서 활용되는 12 신살에 대하여


1,000여 년의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에 임상을 통하여 내용이 굳어지고 폭 넓게 활용되는 신살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12 신살이 될 것이다. 이제부터는 이 유명한 12 신살의 내용과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현대적인 의미에 관한 예시와 함께 자세한 궁구를 해 보기로 하자.

 

원고를 정리하는 의미도 있고 명리학에 관심이 있는 역우님들과 함께하는 기쁨이 있는 블러그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 한마디로 12 신살은 명리학의 풍수이다. 암기해야 할 내용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무궁무진한 활용,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를 하는 무당 흉내도 낼 수 있게 되니 그 활용성에 다만 놀라울 따름이며 그 12 신살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겁살(劫殺)

2) 재살(災殺)

3) 천살(天殺)

4 지살(地殺)


5) 연살(戀殺)

6) 월살(月殺)

7) 망신살(亡身殺)

8) 장성살(將盛殺)


9) 반안살(攀鞍殺)

10) 역마살(驛馬殺)

11) 육해살(六害殺)

12) 화개살(華蓋殺)

 

일반인들도 자주 들어 본 망신살, 역마살, 화개살 등이 보이니 반갑다. 공부를 하실 분은 앞의 12 신살을 반드시 기억해야 하니 겁재천지(劫災天地), 연월망장(年月亡將), 반역육화 (攀驛六華)” 이런 식으로 암기를 해야 하고 거꾸로도 외워야 하니 이는 화육역반, 장망월연, 지천재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