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언독보(四言獨步)와 오언독보(五言獨步)에서의 추명론
아래의 내용은 추명론의 극히 일부이다. 현대의 자평명리학을 통변하는데 중복되는 내용도 있고 단즉사를 던지는데 유용한 표현이니 통변 時, 참고하기를 바라며 더욱 깊은 공부를 원하시면 책을 통한 개인적인 궁구(窮究)를 바란다.
월봉공망(月逢空亡) 난수조업(亂守祖業) 일월형살(日月刑殺) 난수조업(亂守祖業) 일월형충(日月刑沖) 형제불화(兄弟不和)
갑진을미(甲辰乙未) 부귀비명(父歸非命) 월봉관살(月逢官殺) 형제불화(兄弟不和) 재다신약(財多身弱) 고부불화(姑婦不和)
사주역마(四柱驛馬) 해운만리(海運萬里) 지살형충(地殺刑沖) 교통사고(交通事故) 인수역마(印綬驛馬) 해외유학(海外留學)
재임역마(財臨驛馬) 외화획득(外貨獲得) 일시귀문(日時鬼門) 부부면태(夫婦變態) 갑목고조(甲木枯燥) 삼각행보(三脚行步)
일시낙정(日時落井) 익수지액(溺水之厄) 세일귀문(歲日鬼門) 정신쇠약(精神衰弱) 목일진사(木日辰巳) 구사중풍(口斜中風)
월봉인수(月逢印綬) 수집교편(手執敎鞭) 월봉상관(月逢傷官) 호명만인(呼名萬人) 철쇄개금(鐵鎖開金) 앵림지업(櫻林支業)
명봉천문(命逢天門) 극수지래(極數之來) 시상상관(時上傷官) 난보해로(難保偕老) 상관태왕(傷官太旺) 상부가외(喪夫可畏)
일시진술(日時辰戌) 독수공방(獨守空房) 부궁원진(妻宮元嗔) 부부불화(夫婦不和) 도화원진(桃花元嗔) 부부불목(夫婦不睦)
복음반음(伏吟反吟) 곡음임임(哭吟淋淋 투합무정(妬合無情) 반위구(反爲仇) 간여지동(干與地動) 고분지탄(叩盆之嘆)
재다신약(財多身弱) 부실빈인(富屋貧人) 곤랑도화(滾浪桃花) 음린기중(淫亂加重) 겁왕재쇠(劫旺財衰) 의첩지인(疑妻之人)
관인상생(官印相生) 신등공문(身登公門) 목피금상(木被金傷) 근통골통(筋痛骨痛) 화개공망(華蓋空亡) 정통승려(正統僧侶)
화개중중(華蓋重重) 불교신자(佛敎信者) 화일재관(火日財官) 역술지가(易術支家) 사주양인(四柱羊刃) 고집불통(固執不通)
양인충합세군(羊刃沖合歲郡) 발연지화(發然之禍) 양인중중(羊刃重重) 부부불화(夫婦不和) 일시형충(日時刑沖) 자손별거(子孫別居)
일월형충(日月刑沖) 형제불화(兄弟不和) 일월형충(日月刑沖) 부모불화(父母不和) 일시원진(日時元嗔) 자손불화(子孫不和)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진살(怨嗔殺)과 귀문관살(鬼門關殺)의 길흉의 양면성에 대하여 (0) | 2019.12.24 |
---|---|
공망(空亡)의 흉함과 길함에 대하여 (0) | 2019.12.23 |
전생(前生)과 조상님 그리고 귀신과의 관련성을 통변하는 방법에 대하여 (0) | 2019.12.20 |
결혼운과 조혼(早婚), 만혼(晩婚)에 대하여 (0) | 2019.12.19 |
음(陰)과 양(陽)의 상대적인 개념과 오행의 특성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