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戊토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우거질 무(茂)에서 유래된 戊토는 山처럼 포용, 조절, 중후, 무게감, 신(信)이니 중간 매개자, 구심점, 해결사 등의 역할을 잘 하나 고집, 아집이 너무 강하고 현실과 이상 간의 갈등, 괴리가 크다는 것이 단점이 된다.
산, 즉 戊토의 첫 번째의 역할은 관성인 木기, 즉 나무를 잘 키우며 乙목정관보다 甲목편관을 선호하다. 두 번째는 水기재성과 火기인성 즉, 물과 더위를 조절하며 다목적 댐을 조성하여 壬수정재와 木기 관성인 산림을 보존한다. 세 번째는 유용한 광물채취 즉, 庚금식신을 채취하는 용도이며 마지막으로는 관광, 휴양, 수련의 용도 등이다.
金기는 계절을 살피지 않으나 戊토 즉, 땅은 반드시 계절을 살펴보아야 한다. 戊토는 나무를 울창하게 기름이 가장 중요한 임무가 되며 甲목편관과 丙화편인이 투출됨이 좋고 지지에는 조후를 해결하는 辰토비견과 丑토겁재가 있으면 좋다. 戊토는 항상 계절개념으로 봐야 되며 甲목편관, 丙화편인 그리고 壬수편재를 좋아하니 甲丙壬의 운은 길한 운이 되는 것이다.
申酉戌월 즉, 가을철과 亥子丑월인 겨울철에는 휴지기(休止期)가 되어 만물의 기(氣)를 저장하고 寅卯辰월 즉, 봄철과 巳午未월의 여름에는 활동을 하니 발아(發芽)하고 개화를 하게 된다.
이상과 통이 커서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있고 무사기질(武士氣質)이 강하며 인품이 중후하고 믿음직한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신앙심과 경쟁심리가 강하고 다소 헤프게 베푸는 기질이 있다. 지지에 土기 비겁이 있으면 큰 산이 된다.
1. 戊토가 통근처가 있는 甲목편관을 만나게 되면 산림이 우거지고 생명체인 木기관성이 살아가는 쓸모가 있는 땅이 된다. 甲목칠살(七殺)이나 나쁘지 않고 조직에서는 임원까지 진급할 수 있는 명(命)이 된다. 개발의 여지가 많은 땅이나 나무가 없다면 돌산, 민둥산에 불과하게 되며 나무가 없고 庚금식신만 있으면 기암절벽(奇巖絶壁)이 있는 산이 되며 甲목의 물상은 전봇대, 아파트 등을 의미한다.
2. 戊토가 乙목정관을 만나게 되면 乙목정관은 甲목편관의 대용이고 꽃나무이니 겉은 화려하나 실속이 없고 노후가 불안한 야산인 바 특히, 인동초(忍冬草)가 되는 亥子丑월의 겨울에는 더욱 허망하게 된다. 조직에서는 잘 해야 부장까지만 진급한다.
통근처가 없는 戊토일간에 甲乙목 관성만 있고 습기가 왕하다면 버려진 야산이니 곤명 (坤命)은 버려진 여자, 헌 여자, 첩이 되기 쉽고 개발 예정인 땅이 된다. 甲목대운이 온다면 개발, 발전하는 땅이 되는 운이 되는 것이다. 지지에 土기, 천간에 己토라도 있어야 등성이가 있는 높은 산이 된다.
巳午未월 즉, 여름철에는 水기재성이 있어야 하고 亥子丑월 즉, 겨울철에 火기인성이 없다면 겨울산에 폭설이 내린 형상이니 설산에서 수도하는 형상이 된다. 申酉戌월, 즉 가을철이라면 인파가 북적이는 설악산의 형상이다. 甲목편관이라면 사시사철 존재감이 있으나 꽃나무인 乙목정관은 경우가 다르니 유의해서 보아야 할 것이다.
3. 戊토가 丙화편인을 만나게 되면 만물을 생육(生育)하는 생동감이 넘치게 되니 명산은 나무와 물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壬수편재가 있다면 폭포, 계곡이 있음을 의미하니 丙화 편인과 水기재성이 없다면 사람이 찾지 않는 사막, 황무지, 굳은 땅, 높은 땅, 넓은 땅 등이 되는 것이다.
4. 戊토가 丁화정인을 만나고 水기가 없다면 丁화는 열이니 불타버린 산이 되고 이는 매사가 더디 풀리고 장애물, 생산력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곤명(坤命)의 戊토일주가 한습하다면 火기인성운에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나 조열하다면 토조물병(土燥勿病)이라 水기재성운이 와도 출산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戊토일간에 한습한 사주는 좋고 丁화가 있으면서 조열하면 무척 흉하게 되는 것이다.
丁화정인은 지지의 午화에 해당이 되니 戊토일간의 양인에 해당되고 水기재성이 없고 巳午未월, 즉 여름철이라면 부부인연이 박하게 된다. 즉, 화토중탁(火土重濁)이라 세속무연(世俗無緣)이 되고 수행, 출가, 수행 등에 인연이 많게 되는 것이다.
亥子丑월 즉, 겨울철에 水기재성이 왕(旺)하다면 빛의 丁화는 깊은 산 속에서 화로불에 떡을 구워 먹는 훈훈한 정(情)이거나 아니면 山 속의 절에서 기도하는 형상이며 깊은 산 속의 촛불이니 기도나 명상 등 정신세계와 인연이 있게 된다.
5. 戊토가 戊토비견을 만나게 되면 첩첩산중(疊疊山中)이고 개발이 안 된 산의 형상이며 甲목편관이 없다면 웅장한 산세, 험한 산이니 인생이 험난하게 된다. 산적이 출몰하는 산이 되고 이는 손재수(損財)라 내 것을 빼앗기게 되니 주변사람, 건강, 교통사고, 여자, 첩 등을 조심해야 한다.
甲목편관운이 오면 개발지로 바뀌니 집, 아파트, 휴양시설이 들어서는 운이 된다. 庚금이 오면 광산이 생기거나 터널이 뚫리게 되며 여자는 헌남자와 인연이 된다.
6. 戊토가 己토겁재를 만나게 되면 산골짜기에서 사람이 경작하는 땅의 형상이며 습기가 있으면 문전옥답(門前沃畓)이고 조열하면 화전밭이 된다. 己토겁재는 戊토가 필요한 甲목 편관과 壬수편재를 “甲己육합”하고 壬수를 탁수(濁水)로 만드니 별 도움이 안 되나 조열한 경우에는 길한 순작용을 한다.
7. 戊토가 庚금식신을 만나게 되면 기암계곡(奇巖溪谷)의 형상이나 木기관성이 있으면 바위 정도가 된다. 木기관성의 여부로 길흉(吉凶)을 가늠하는데 木기가 없다면 광맥, 터널이 뚫려서 좋고 甲乙목 관성이 있으면 산림을 훼손하는 흉한 역작용이니 좋은 직장을 그만두고 선(禪), 기(氣), 종교 등의 정신세계에 빠지거나 일확천금(一攫千金)을 노리는 엉뚱한 짖을 하게 된다.
금극목(金克木) 즉, 金기식신이 木기관성을 극하니 책임감도 없어지고 배우자나 자식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8. 戊토가 辛금상관을 만나게 되면 丙화편인을 합거(合去)하고 “乙辛충”을 하여 꽃나무를 자르니 흉한 역작용을 한다. 傷官이니 망상에 젖어 큰 산에 보석이니 노다지를 찾아 허망한 짓을 하고 돌아다니는 형상인 것이다.
9. 戊토가 壬수편재를 만나게 되면 계곡, 다목적댐, 관광자원이라 좋고 甲목편관이 있다면 금상첨화(錦上添花)가 된다. 亥子丑월, 즉 겨울철에는 壬수편재는 폭설이니 외로워지고 인적이 끈긴 산이다. 그러나 甲목편관과 丙화식신이 있다면 설산에 차가 다니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
10. 戊토가 癸수정재를 만나게 되면 “戊癸육합”이 되며, 巳午未월 즉 여름철에 癸수는 생명체가 살아나게 되나 산에 무지개가 걸리니 모든 것이 허망할 수도 있다. 조후용신으로 이슬비, 단비 등이 되니 길흉의 변화의 측량이 어렵다. 亥子丑월, 즉 겨울철에는 북풍한설 (北風寒雪)이니 눈보라가 치는 적막강산(寂寞江山)이 된다. |
'운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庚금이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19.03.20 |
---|---|
■ 己토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19.03.17 |
■ 丁화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19.03.10 |
■ 丙화가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19.03.09 |
■ 乙목이 다른 천간을 만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