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origin is blog captured
■ 乙甲겁재에 대해서
등라계갑(騰羅繫甲)을 할 수 있는 甲목겁재이니 乙목일간이 믿고 의지하고 도와주는 존재가 되나 오히려 甲목겁재는 乙목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활용되니 甲목겁재는 치밀하고 빠른 乙목일간에게 이용을 당하게 된다.
乙목일간에게는 항상 음양합인 庚금정관이 따라 다니니 甲목겁재를 통제해서 재성인 돈, 건강, 활동공간을 확보하는 능력이 뛰어나게 되며 선배인 甲목겁재를 바지사장으로 앉혀서 실리를 취하는 乙목일간이다. 결과적으로 실속은 乙목일간이 챙기고 책임은 甲목겁재가 지게 되니 허장성세(虛張聲勢)의 甲목겁재이며 이는 조직을 잘 활용하고 이끌어 가며 교묘하게 돈을 버는 乙목일간이 된다.
乙목일간에게 적당한 土기재성은 甲목겁재를 잘 이용하나 큰 재성은 甲목겁재에게 당하고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가니 큰 돈을 벌려면 甲목겁재를 이용하지 말고 직접 해야 될 것이며 戊토정재같이 乙목일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큰 재성은 甲목겁재가 모두 챙겨 나간다. 甲목의 입장은 속도가 늦어지게 되며 庚금편관을 녹이는 火기식상은 무서워하지 않는데 乙목겁재는 부담이 되나 辛금정관이 있으면 乙목겁재를 떼어낼 수 있다. 甲목일간이 좋아하는 庚금편관을 잘못하면 乙목겁재에게 빼앗기게 된다.
"○甲庚乙"의 곤명(坤命)이면 庚금편관은 일간의 것이 아니니 결혼하기가 어렵다. 乙목 일간은 火기식상이 없어도 甲목겁재 하나만 있으면 버틸 수 있으니 甲목겁재는 형제, 친척, 식구, 후원자이다.
"○乙甲甲"의 명(命)이면 큰 틀에 갇혀 버리게 되는 형상이 되며 햇빛이 안 들어 乙목일간이 죽을 수도 있는 아주 흉한 일이 생긴다. 水기인성이 왕해도 甲목겁재가 있는 乙목일간은 수다목부(水多木浮)가 되지 않으나 반대의 경우는 목다수핍(木多水乏)이 되어 흉하다. 목다수핍(木多水乏)이 되었으나 申酉금 관성이 있어서 "금생수(金生水)“의 작용을 하면 좋은데 이런 경우에는 무엇인가를 채워주는 주유소, 건강원, 학원, 역학원, 병원, 상담, 컨설팅(Consulting), 소개업 등의 직업이 길하게 된다.
목다수핍(木多水乏)인 乙목일간은 건망증, 기억상실, 치매 등의 정신적인 문제가 있게 되고 목다화식(木多火熄)이면 火기식상은 다품목을 취급하고 전문성이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木기를 쪼개야 되니 필요한 것은 水기인성이 아니라 金기관성이 있어야 火기식상이 살게 된다. 분별하는 "~士"의 전문직이니 판검사, 형사, 감별사, 검침원, 쏘물리에(Sommelier), 헤드헌터(Head-hunter), 스카우터(Scouter) 등의 업종이 적성이 된다.
甲목일간이 乙목겁재가 많으면 양인합살(陽刃合殺)로 庚금편관을 활용하기 위한 미인계를 쓰니 살벌한 군생활에서 예쁜 누이가 방문을 하여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형상이 된다.
작은 돈은 가능하나 큰 돈은 甲목겁재가 가져가니 채권회수를 도와준 甲목용역에게 당하는 형상이다. 신약한 乙목일간이 甲목겁재를 이용하면 대부(大富)가 없다. 乙목 일간은 상황에 따라 순간적인 꾀, 변신, 방법도 교묘하니 다쳐도 甲목겁재가 다치게 되며 허장성세(虛張聲勢)가 있고 실속이 약하며 이용을 당하는 甲목겁재이다.
乙목일간에 甲午년의 세운을 살펴보면 등라계갑(藤蘿繫甲)으로 乙목일간은 甲목겁재를 최대한 활용하니 수단과 도구가 생기는 운이 되고 투자를 하더라도 다른 사람을 활용을 하게 되는 운이다. 모든 음간들은 현실적, 실리적이나 그 중에 丁화와 辛금이 약간 떨어지는 기운이 있다.
乙목일간은 환경변화, 임기응변(臨機應變)에 능하며 무조건 생재(生財)로 쏠리게 되며 己토는 수동적이면서 강하고 시험, 취직, 명예의 관성 쪽에서 승부를 건다. 乙목이 위치선점 등에서 甲목보다 훨씬 빠르고 치밀, 현실적이나 큰 일은 甲목이 우세하다. 천간에 戊己토 재성이 있으면 乙목일간은 甲목겁재를 이용해서 재성을 취하니 甲목겁재의 영역에서 乙목일간이 돈을 다 버는 형상이다. 통근한 戊己토 재성이 있으면 甲午년은 아주 길하게 되는 운이다.
습목인 乙목일간에게 甲午세운에는 辰丑토 정재가 가장 좋다. 甲목겁재를 이용해서 戊토 정재를 취하는 "乙戊정재"는 甲목겁재의 조직, 단체, 형제, 바지사장 등을 이용하게 되고 乙목일간은 庚금정관을 달고 다니니 다치지는 않으나 구설잡음(口舌雜音)은 따라 다니게 되며 겁재는 구설잡음, 방해요소이나 乙목일간에게 甲목겁재는 방해요소가 아니라 의지처가 되는 것이다. 겁재는 친형제보다는 친척, 사촌형제가 된다.
명(命)이 조열하면 잡음이 많고 돈벌이가 시원치 않으나 하반기에는 풀린다. 관재수는 천간이 관성, 지지의 식상인 庚午, 辛未월이다. 水기인성이 좋으면 상반기부터 잘 나간다. 甲목겁재는 어수선한 상황을 싫어하나 乙목일간은 이러한 분위기를 원하고 잘 이용한다. 乙목일간은 부추기고 직선적인 甲목겁재는 나서기를 좋아하니 허장성세(虛張聲勢)가 있다.
甲午년에는 최고의 생재(生財)를 하게 되는데 水기의 인성과 土기재성의 유무(有無)가 관건이 된다. 丙午, 戊午년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나 甲목운은 습기, 水기인성을 흡수할 수 있다. 水기인성이 부족하면 호흡기, 피부질환이 있게 되고 최소한 명쾌하지 않고 불편한 활동을 하게 된다.
뿌리가 왕한 戊토재성, 즉 큰 돈이면 甲목겁재는 겁재의 흉한 역작용을 하니 "○乙甲戊"의 命은 큰 부자가 아니다. 乙목일주가 甲午년에는 부동산은 부담이 가더라도 구입을 하는 것이 길하고 甲목겁재니 대출을 받아서 인성운인 壬申, 癸酉월에 구입함이 좋다.
식상운인 丙寅, 丁卯월에는 무리수가 있는데 특히 재성운인 戊辰월은 甲목겁재가 차지하니 무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빼앗아 가는 劫財는 공유하는 비견보다 심각하고 복잡한 삼각관계가 된다.
甲午년에 甲목일간이 바람이 나는 것과 乙목일간이 바람이 나는 것은 차이가 있는데 "甲甲비견"은 자기 생각으로, "乙甲겁재"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바람이 나게 되니 甲목세운의 외부적인 요인이 없어지면 甲목일간은 자기 자리로 돌아오게 되나 乙목일간은 그 정도가 심각하다는 의미이다.
午화식신이 빛이면 정신적으로, 열이면 육체적, 물질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열이면 절제(Control)가 힘들고 삐뚤어진 욕망이 된다. 이성, 부부관계는 재성이 오면 더욱 심하게 되니 재성운인 戊辰, 己巳월이고 특히, 戊辰월이 더 심각하다.
공부운은 水기인성의 유무가 중요하고 있다면 바로 활용하는 공부를 하게 되며 자격증을 위한 공부보다도 친구의 자격증을 이용하는 형상이 되며 겁재운은 일간의 입장에서 겁재를 활용하니 이기적인 모습이 보인다. 乙목일간이 辰토재성 정도에 통근하고 甲목겁재가 오게 되면 이를 잘 활용하나 극 신약한 명(命)에 甲목 겁재가 오면 오히려 소유권의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
'천간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丁丙겁재에 대하여 (0) | 2020.02.24 |
---|---|
丙丁겁재에 대하여 (0) | 2020.02.21 |
■ 甲乙겁재에 대해서 (0) | 2019.02.11 |
■ 癸癸비견에 대해서 (0) | 2019.01.08 |
■ 壬壬비견에 대해서 (0) | 201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