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국(格局)을 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결론부터 말하면 월지(月支)의 지장간에서 투간된 대표육신이 격국이 되며 일반적으로 정기(正氣)의 투간 만이 진격(眞格)이 된다. 그러나 생지(生支)인 寅申巳亥는 중기를 중심으로 격국을 잡고, 묘고지(墓庫支)인 辰戌丑未는 여기(餘氣)를 중심으로 격국을 잡아주며 왕지(旺支)는 그대로 격국으로 잡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4생지 중에 오직 巳화 만이 여기인 戊토를 격국으로 잡을 수 있다.
월지에 건록지와 왕지(旺支)가 있으면 투간이 안 되어도 건록격과 양인격으로 격국을 잡을 수 있으며 戊토와 己토를 제외한 比肩은 건록격이 된다.
오직 양간(陽干) 만이 양인격으로 인정을 해주니 戊토일간이 午월이면 양인격이 되고 巳午未월이 아니라면 戊토일간에 午화는 양인이 아니고 정인이 되는 것이다. 겁재의 작용력보다 강한 것이 양인격이며 왕지인 子午卯酉월의 양간만이 양인격이 된다.
辰戌丑未의 중기는 투간되어도 가격이 되고 癸수일간에 辰월의 여기인 乙목식신이 투간되고 다른 지지에 寅목이나 卯목이 있으면 왕지 하나만 있는 본기의 투간보다 더욱 강한 "水木식신격"이 되는 것이다.
진격(眞格)의 유무를 알기 위해서는 월지의 사령(司令)을 살펴야 하며 사령한 오행이 투간 (透干)되었으면 격국의 순도가 올라가게 되고 월지에 왕지가 있으면 일단은 격국으로 인정하고 삼합이나 방합이 되면 또한 격국의 순도가 올라가게 된다.
성격(成格)이 되었더라도 격국이 사적인 육합이 되면 파격이 된다. 정성(正星), 즉 재관인식 (財官印食)격이 육합이나 충극(冲克)이 되면 확실한 파격이 되니 이는 탐합망귀(貪合亡貴)의 흉한 의미가 되고 정성인 정관을 합하면 탐합망관(貪合亡官)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편격(偏格) 혹은 흉격인 살상효인(殺傷梟刃)격이 육합이 되면 합화, 제화가 되는 것이니 성격(成格)이 되는 것이며 정재격에 겁재가 있으면 파격이니 재관인식(財官印食)의 길신격은 합이 아니라도 충극되면 파격이 된다.
격국이 일간과 육합을 하거나 격국을 합한 상대오행이 힘이 없으면 간섭은 받으나 파격까지는 아니다. 또한 정재를 극하는 겁재가 있으면 파격이 되는데 이러한 겁재를 잡아주는 정관이 있으면 패중유성(敗中有成)이 되고 정관이 격국용신이 된다.
격국과 격국용신은 일간의 신약신강과는 무관하며 격국에 힘을 실어주고 격국이 필요로 하는 것이 격국용신이 된다. 보통 정재격은 식상이 제 1 용신이 되는데 겁재가 있으면 파격이 되니 겁재를 제화시키는 정관이 격국용신이 되고 없으면 편관이라도 격국용신이 되는 것이다.
종격(從格)이나 혹은 화격(化格)이 되는 5 가지 조건을 "丙辛합화, 水기"의 예를 들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종(從)하는 오행이나 화(化)하는 화기(化氣)의 계절이어야 한다. - 亥子丑월. 2. 방합과 삼합이 있어야 하며 방합이 우선이 된다. - 亥子丑, 申子辰. 3. 종(從)하는 오행, 즉 화기(化氣)오행이 천간에 투출되어야 하며 壬수나 癸수가 있어야 격국의 순도가 올라간다. 4. 거스르는 오행 즉, 土기나 火기가 천간이나 지지에 없어야 한다. 5. 丙화와 辛금이 지지에 통근처가 없어야 한다.
상기 5 가지 사항이 모두 충족되면 진종격(眞從格), 혹은 진화격(眞化格)이 되고 아니라면 가종격(假從格)이나 가화격(假化格)이 되며 1 번과 2 번의 가중치가 가장 높다. |
'격국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격국(格局)의 개관 (0) | 2018.12.14 |
---|---|
■ 격국을 정함에 대하여 (0) | 2018.12.02 |
■ 격국론과 억부론 그리고 조후와의 관계에 대하여 (0) | 2018.10.25 |
격국(格局)과 격국용신, 억부용신, 그리고 조후용신의 다른 작용력에 대하여 (0) | 2016.06.07 |
양인격에 대하여 - 2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