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辛己편인 戊토정인보다는 덜하나 그래도 매금(埋金)이 걱정되는 상황이다. 己토편인은 丙화정관을 가리고 辛금일간이 필요한 壬수상관을 탁임(濁壬)하는 역작용을 하게 되니 역시 木기재성으로 소토(掃土)해야 丙화정관이 빛나게 되고 水기식상을 잘 흐르게 해야 길하게 되는 것이다. 辛금일간은 직접 木기재성을 다룸이 아니고 水기식상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己토편인에게 항상 木기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습토인 己토편인이 辛금일간이 가장 꺼리는 열작용의 火기관성을 도기(盜氣)한다면 辛금일간에게 길한 순작용을 한다. 생설(生洩)이 안되니 직접적인 관계보다 水기식상과 火기관성의 관계에서 길과 흉의 작용력을 살펴야 한다. 壬수상관을 만나면 辛금일간이 壬수상관을 생해줌이 아니고 壬수자식이 辛금모친을 빛내주는 형상이나 己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