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관(正官)의 의미와 주변상황 - 2 / 2 통근처가 약한 일간에 관성과 재성이 왕하게 되면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을 하여 책임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며 심하면 과로사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정재, 정관은 일을 미루지 못하고 남을 믿지 못하니 본인이 직접 처리하려고 하니 전업주부라면 자식, 남편을 본인이 직접 챙기나 본인은 힘들어 하고 피곤해 하는 형상인 것이다. 비겁이 왕한 주부는 직접 챙기지 않고 나가서 사먹으라고 하고 일을 미루었다가 기분이 내킬 때 한 번에 해치운다. 관인상생(官印相生)은 인성에 의해 관성이 생기므로 타인이 인정하는 실력을 배양해야 자리에서 잘 버틸 수 있게 된다. 왕한 비겁을 다스리는 정관은 난관을 극복하는 힘이 있으니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일간이 되며 관성이 있어야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