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택일 3

신약재다와 군겁쟁재

신약재다와 군겁쟁재 이 시간에는 신약재다(身弱財多)와 대치되는 개념인 군비쟁재(郡比爭財) 혹은, 군겁쟁재와 상대육신인 재성(財星)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좀 더 엄밀하게 설명하면 일간의 음(陰)과 양(陽) 즉, 양간인지 음간인지를, 일간을 기준으로 비견인지 겁재인지 그리고 재성의 음양(陰陽)인 정재인지 편재인지를 구분하여 비겁이 재성을 향한 작용을 군겁쟁재(群劫爭財)의 한 단어로 표현하기는 하나 경우의 수가 많으며 또한, 물상 (物像)에서도 읽어낼 수 있는 내용도 참고해야 한다. 신약재다(身弱財多)의 명(命) 즉, 일간이 신약하고 재성(財星)이 왕한 경우에는 일간은 재성을 버겁게 여기고 돈, 재테크(財-Tech) 활동, 처, 여자, 건강 등에 끄달리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의 비견은 합력(合力)하는..

육신론- NV 2022.08.30

비겁과 주변환경 - 2 / 2

비겁과 주변환경 - 2 / 2 비겁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왕한 명(命)은 모자멸자(母子滅子)의 심각한 상황이며 개운법(開運法)으로는 비견을 강조하고 인성을 멀리해야 하니 의형제, 동생, 친구들과 함께 하는 생활을 하거나 단체생활, 유학, 기숙사 등 독립적인 생활을 권하며 기혼녀라면 친정을 멀리하고 시댁과 가까이 지내야 한다. 종교생활에 심취하게 되면 모든 것을 잃어버리게 되니 절대 금물이다. 비견이 미약하거나 너무 중중하여 극단적으로 흐르게 되면 인성의 입력이나 배출, 소화가 어렵고 도움도 받기 힘드니 적당한 비견이 있어야 인성의 도움도 받을 수 있다. 인성이 왕하고 일간이 록왕지(祿旺支)에 통근하면 즉, 신왕인왕(身旺印旺)하면 인성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며 악의는 없으나 독자적이고 ..

육신론- NV 2022.08.26

비견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비견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甲己○”의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甲丙戊庚壬의 양간(陽干)은 정재(正財)와 육합을 하고 “○乙庚○”의 명(命)에서는 乙丁己辛癸의 음간(陰干)은 정관(正官)과 육합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비견운이 오게 되면 투합(妬合)이나 쟁합(爭合)으로 발전하고 사건사고와 관재구설수 (官災口舌數), 삼각관계 등에 시달리게 된다. 비견운을 간명하는 경우에는 일견하여 양간과 음간을 구분하고 쟁합과 투합을 구분하여 길흉을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명(命)에서의 신약과 신강을 구분해야 함은 물론이나 명(命)에서 신강과 신약의 경계에 있다면 대운과 세운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비견운은 신약한 경우에는 순작용을 하고 신강에 신강이 더해지게 되면 역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

육신론- NV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