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삼재 4

삼재(三災)에 대하여

■ 삼재(三災)에 대하여 오늘은 세상을 살아가는 실생활에서 맴도는 삼재(三災)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과 대장군방(大將軍方), 삼살방(三煞方)에 대하여 공부해 보기로 한다. 인재(人災)는 우리가 이야기하는 삼재(三災)의 보통의 의미가 되며 여기에는 부도, 물질적인 손해 등을 의미하는 물삼재(物三災)와 관재구설, 형액, 송사, 해고, 면허취소 등을 의미하는 관삼재(官三災)가 있으며 그리고 질병, 우환, 수술수, 사건사고, 사망 등을 의미하는 병삼재(病三災)가 있으니 그래서 3 가지의 재앙, 삼재라고 하는 것이다. 10 년 간의 운인 대운과 한 해의 운을 의미하는 세운이 동시에 겹쳐져서 흉한 삼재(三災)가 되면 아주 치명적인 일을 겪게 되는 것이며 여기다 공망(空亡)까지 겹치게 된다면 아주 심각한..

乙未년의 10 천간

■ 乙未년의 10 천간 특정된 사건사고를 발생하게 하는 세운은 천간이 가장 중요하고 천간 대 천간, 지지 대 지지와의 관계를 먼저 살핀 후에 천간과 지지, 지지와 천간과의 관계를 살펴야 한다. 대운과 명(命)의 사주를 더한 오주(五柱)와 함께 사건사고의 중심에 서게 되는 乙未년이 빌미를 제공하여 발생하게 되는 사건사고를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서는 乙未년 간지의 오행적인 특징과 12 운성을 알고 있어야 하며 가장 먼저 대운과 세운을 포함하는 음양적인 측면 즉, 조후적인 측면을 살펴야 한다. 전 해인 甲午년은 건조한 한 해였으니 대체적으로 건조한 명(命)은 흉한 사건사고가 있었던 한 해였고 한습한 명(命)은 좋은 발전이 있었던 한 해였을 것이다. 역시 乙未년도 조후 즉, 水기의 존재여부에 따라 길과 흉의 정도..

운세론 2020.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