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극즉양생 5

12 운성론의 이해와 활용

■ 12 운성론의 이해와 활용 “양극즉음생(陽極卽陰生)”이고 “음극즉양생(陰極卽陽生)”이니 이는 양(陽)의 기운이 사지(死支)에 이르게 되면 음(陰)의 기운이 새롭게 시작되는 생지가 시작되고 이러한 음의 기운이 사지에 이르게 되면 또한 양의 기운이 새롭게 시작되는 생지(生支)가 되는 것이니 양간과 음간의 생지와 사지는 그 위치가 배대된다. 삼합과 삼재(三災) 그리고 12 신살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니 삼합은 12 운성론에서 생지(生支), 왕지(旺支) 그리고 묘지(墓支)가 만나 삼합을 이루고 삼재는 년지(年支)의 삼합의 기운이 12 운성론의 병지(病支), 사지(死支) 그리고 묘지(墓支)에 들어가는 시기인 것이니 일명, 포태법(胞胎法)이라고도 하는 12 운성론은 천간과 지지 사이의 신살이 되는 것이다...

12 운성론 2020.09.20

子수의 자원(字源)과 시간적, 계절적인 의미에 대하여

■子수의 자원(字源)과 시간적, 계절적인 의미에 대하여 子수의 자원은 두상이 큰 태아의 형상이고 잉태할 잉(孕)자이니 생산하고 늘어나는       의미가 되며 수태(受胎)가 기능한 처녀의 형상이고 처음, 시작, 씨앗, 정자, 난자, 종자,    원자, 양자, 생명의 근원, 시초, 1 등의 의미가 있다. 홀수는 음(陰)이고 짝수는 양(陽)이다. 쥐의 앞발가락는 4 개, 뒷발가락은 5개이니 “4 + 5”를 해서 나오는 9는 완성수가 되고 만물의 시원(始原)이 되는 것이다.  음기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양기이니 子월의 동지(冬至)에서 일양(一陽)이 시생하는      것이다. 土기는 생명체가 살고 죽는 곳이고 시작과 끝은 水기가 되는 것이다. 음양(陰陽) 즉 水기와 火기에 의해서 부화, 발아, 탄생하는 변화가 ..

지지인자론 2015.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