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무인 2

비견(比肩)과 겁재(劫財)운의 통변

■ 비견(比肩)과 겁재(劫財)운의 통변 처음 보는 사람에게 단즉사(單卽辭)를 던질 수 있는 단초 중에 하나가 명(命)에 편중(偏重)되고 혼잡된 오행과 육신(六神)의 특성이니 예를 들어 命에 火기가 없으면 들어냄과 변화를 싫어하니 영화관을 가도 한 곳만을 가게 되고 특정된 주제 만을 선호하며 金기가 없으면 마무리나 정리에 약하니 이에 관한 일에 애로사항이 많은 사람이라고 초사언(初辭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오행 즉, 木기, 火기, 土기, 金기 그리고 水기에 대한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사주에 중중한 오행과 육신의 특징을 설명하고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없는 것에 대한 특징을 설명해 주는 동시에 길(吉)과 흉(凶) 그리고 어떠한 사건사고가 있을 것인지는 격국용신과 억부용신 ..

운세론 2020.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