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子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庚子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37 번째인 庚子일주의 庚금일간은 辰토정인과 巳화편관이 공망이 되고 사지(死支)인 子수상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금수쌍청 (金水雙淸)이라 청백하고 고결함에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는 하나 물도 지나치게 깨끗하여 청수가 되면 .. 일주론 2017.06.23
庚午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庚午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7 번째인 庚午일주의 庚금일간은 戌토정인과 亥수식신이 공망이 되고 욕지(浴支)인 午화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으며 백마(白馬)의 형상이라 이상이 크고 높으며 욕지에 앉으니 사교적이고 주색잡기(酒色雜技)를 즐기는 경향이 많다.. 일주론 2017.06.16
己未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己未일주에 대하여 60갑자 중에 56 번째인 己未일주의 己토일간은 子수편재와 丑토비견이 공망이 되고 대지(帶支)인 未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전답이 메말라 있는 형상이고 그래서 한 번 감정이 격해지게 되면 앞뒤전후를 가리지 않고 폭발한 후에는 회한에 젖.. 일주론 2017.06.14
己丑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己丑일주에 대하여 60갑자 중에 16 번째인 己丑일주의 己토일간은 酉금식신과 申금상관이 공망이 되고 묘지(墓支)인 丑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천간과 지지가 己토비견으로 되어 있어 방황, 갈등을 하고 성급하며 항상 실속이 없고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는 것.. 일주론 2017.06.07
戊子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戊子일주에 대하여 午정인과 未토겁재가 공망이고 25 번인 戊子일주의 戊토일간이 태지(胎支)인 子수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큰 산 속의 쥐, 차가운 겨울산, 동토(凍土)의 형상이고 글자 그대로 무자식(無子息)이거나 자식이 있으면 무덕(無德)하게 됨이 보통이다. .. 일주론 2017.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