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라계갑 23

卯목정재와 乙목정재

■ 卯목정재와 乙목정재 명(命)에 卯목정재가 있는 경우에 “卯酉충”이 되면 지지의 卯목정재에 흠집이 나게 되니 이는 왕지인 재성임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많고 안정적이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庚申(57)일주에 천간의 乙목과 卯월의 재성이 있으면 “乙庚육합”과 “卯申암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니 이는 공동소유의 의미가 있게 되며 申금의 지장간 중에는 庚금비견과 壬수식신까지 있으니 더욱 가까이 친숙하게 지낼 수가 있는 것이다. “亥卯未삼합”이 된다면 왕지인 卯목정재는 변하지 않으니 정재로써의 본분을 지키고 본연의 역할을 다하게 되며 천간에 甲목편재가 있는 경우에 지지의 卯목정재는 생각은 있어도 엉뚱한 짓을 하거나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며 다만 정신이 甲목편재에 가 있고 庚금일간의 합 등의 통제를 받지 않으려고 ..

운세론 2020.08.22

甲午년을 만나는 乙목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乙목일간 甲午년의 乙목일간은 甲목겁재에게 등라계갑(騰羅繫甲)을 하게 되고 지지의 午화는 식신이 된다. 甲목겁재를 만난 乙목일간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수단과 도구가 생기게 되니 이는 투자를 하더라도 다른 사람을 활용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음간들은 실리적이나 그 중에 丁화일간과 辛금일간은 조금 떨어지며 가장 강한 생명력을 자랑하는 乙목일간은 환경변화, 임기응변(臨機應變)에 능하며 무조건 생재(生財)의 방향으로 쏠리게 되며 己토일간은 수동적이면서 강하고 시험, 취직, 명예 등의 관성 쪽에서 승부를 걸게 된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甲목겁재의 입장은 정보나 위치선점 등에서 훨씬 빠르고 현실적이며 치밀한 乙목일간에게 이용당하게 되나 큰 일이나 큰 돈이라면 甲목겁재가 우세하니..

운세론 2020.08.10

乙목일간에 월간 己토편재가 있는 경우의 甲午년의 통변

■ 乙목일간에 월간 己토편재가 있는 경우의 甲午년의 통변 “○乙己○”의 명(命)에 甲午년은 월간의 己토편재(偏星)와 甲목겁재(偏星)가 천간육합을 하는 운이 되고 지지는 午화식신운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를 살펴보기로 하자. 역마성인 편재는 넓은 무대, 이동무대, 전국무대, 해외무대 등의 활동공간을 의미하며 유동적인 재물을 의미한다. 金기관성이 있다면 협조자가 갑작스럽게 다가와서 안착하게 되는 운이 되고 화기오행(化氣五行)이 土기재성이니 또 다른 공간을 확보하는 운이 된다. 등라계갑(藤蘿繫甲)을 해서 경쟁에서 승리하니 이는 乙목일간이 己토편재를 다스릴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명(命)이 신약재다(身弱財多)하다면 재성은 일간에게 부담, 부채, 짐이 되며 겁재의 도움을 받을 수는..

운세론 2020.08.04

乙목일간의 통변

■ 乙목일간의 통변 첫 번째의 양간인 甲목은 정신적이나 대표적인 음간인 乙목은 현실적, 물질적, 실용적인 특성이 강하며 사시사철, 자연채광(自然採光)인 丙화를 갖추어 만발(滿發)함이 제 1 의 임무가 되고 지지에서는 辰토와 丑토가 필요하다. 외유내강(外柔內剛)형이고 강한 자존심(自尊心),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끈질긴 생명력, 환경적응력이 강하다. 인정이 많고 감정에 끌리는 면이 많으나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은혜를 저버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 乙목일간은 계절 즉, 월지를 중시(重視)해야 하며 봄(寅卯辰월)에 피는 꽃은 성급하니 빨리 피고 빨리 지게 되며 여름(巳午未월)에 피는 꽃은 차근차근 성장하니 무리가 없다. 가을(申酉戌월)에 피는 국화는 기품(氣品), 절개가 있으며 동지섣달인 겨울(亥子丑월)에 피는 ..

운세론 2020.07.22

甲목일간의 통변

■ 甲목일간의 통변 甲목은 양간인 丙화상관, 庚금편관 그리고 壬수편인을 좋아하니 천간에 “丙화”, “庚금”, “壬수”가 있고 각 천간이 지지에 통근을 하게 된다면 무조건 좋은 명(命)이 될 것이다. 甲목일간에게 丙丁화의 식상(食傷)이 없으면 말이나 행동이 답답한 사람이 되며 또한 기가 강한 사주이니 이는 살아가면서 그 만큼 갈등과 굴곡이 많게 됨을 의미한다. 양간(陽干)인 甲목일간이 육합이 되게 되면 맑은 기운으로 솟구치는 기상과 기운을 빼앗기게 되니 흉한 역작용이 있게 된다. 한난조습(寒暖燥濕)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겨울(亥子丑월)과 봄(寅卯辰월)에는 나무인 甲목일간이 좋은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丙화와 辰토 그리고 丑토가 있어야 하며 여름(巳午未월)과 가을(申酉戌월)에는 庚금편관과 丁화..

운세론 2020.07.21

甲목

■ 甲목 10 천간 중에 첫 번째의 양간이고 정신적, 이상적인 면이 강한 甲목은 상향성, 직진성, 선두, 처음, 시작 등을 좋아하고 빨리 표출, 출력하며 또한 경쟁심이 강하다. 미래를 낙천적으로 생각하고 주인의식이 강하며 음(陰)을 양(陽)으로 바꾸어 올라가니 강한 추진력과 일에 대한 분기점의 의미가 있다. 단점은 무모함, 소영웅심리, 일단은 저지르고 보는 과욕과 서두름이고 주변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배려감과 이해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甲己육합”이 된 甲목은 상기의 보편적인 특성이 없어지게 되고 만약에 金기관성이 있다면 주위를 배려하는 포용력이 생기게 되니 정확한 甲목의 특성을 살피려면 명(命)의 주변에 따른 변수작용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간은 재성을 보면 소유하려 하고 음간은 ..

천간인자론 2020.06.02

己乙편관에 대하여

■ 己乙편관에 대하여 己토일간에게는 乙목칠살을 받아들여야 하는 숙명이 있으나 火기인성이 있다면 살인상생 (殺印相生)으로 乙목편관을 잘 활용하게 되고 金기식상으로 식상제살(食傷制殺)을 하게 되면 적극적인 대처를 하게 된다. 己乙丙. 편성(偏星)이기는 하나 “갑자기”가 해당 안 되는 특이한 乙목편관이라 조용하고 부드럽게 다가오는 乙목편관은 예측하기 어렵다. 한 겨울밤에 조용히 내리는 폭설이나 잡초가 점령한 전답처럼 소리 없이 무서운 작용을 하게 되니 방심하면 칠살이나 귀살에 해당하는 큰 일이 겪게 되는 것이다. 己토일간에게 甲목정관과 乙목편관이 혼잡되게 되면 甲목정관이 정관역할을 못하게 된다. "乙己편재"가 지극히 현실적인 편재인 것처럼 "己乙편관"도 지극히 현실적인 편관이 되며 己토일간은 乙목칠살에게서 벗..

천간물상론 2020.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