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인자론

子수의 동물성에 관한 인자론과 그에 따른 애정관에 대하여

기림역학 2016. 1. 3. 20:53

 

 

 


■子수의 동물성에 관한 인자론과 그에 따른 애정관에 대하여

 

쥐를 포함한 야행성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영리, 지혜, 눈치, 민첩, 다산, 부지런, 근면,    은밀한 저장성, 실속, 뛰어난 예감성 등의 강한 특징이 있고 반대의 특징은 뱀과 말을    의미하는 巳午화에서 나타난다.

 

子수의 애정운은 이성에 눈을 빨리 뜨고 주색을 밝히는 경향이 있다. 주색이 강함은       12 지지 중에서 쥐, 토끼, 닭을 의미하는 子卯酉이니 "子酉파", "子卯상형"이 되면         생식기에 관련된 질환이 많게 되고 또한 과도한 성욕 때문에 부부마찰이 많게 된다. 子수대운에는 애정사, 성적인 문제, 약물중독, 자식문제 등이 발생하고 또한 주위로부터      고립될 우려가 많게 되며 또한 다산을 의미하니 성기, 자궁 등에 문제가 있게 된다.


子수도화의 특징은 영리하고 부지런하나 외부로 들어나지 않는 숨은 끼가 많고 은근하게 사람을 끌어당기는 묘한 매력이 있으며 불륜(不倫)에 빠지기 쉬운 성정을 가지고 있다.   엉뚱한 생각, 응큼, 음침하며 생식과 번식의 본능, 색욕, 술, 유흥, 이성을 일찍 경험하게 된다. 가정적이지는 못하나 자식사랑은 유별나다.

 

子수는 생식하고 번식하는 능력이 있고 또한 영리한 일간이며 子수에는 음양의 공존하니 길흉과 선악이 공존하고 끄트머리, 승강기, 미닫이 등을 의미하는 특징이 있다. 정지되어 보이지만 머릿속은 생각이 많고 인내심, 기다리는 마음이 강하고 子수는 속이 꽉차고     농축된 씨앗이니 내공이 있는 일간이다.


子수는 몸체는 가버리고 최소한의 외형만 남은 상태이다. 인내심, 집중력, 몰두력이        강하니 정신적, 물질적으로 압축하고 줄일 줄 아는 능력이 있다. 준비하고 대기하는       상태이고 반대적인 의미는 巳午화가 된다.

 

전통적인 한의학에서는 수승화강(水昇火降)이 건강의 비결이니 이느 水기는 올리고      火기는 내려야 한다는 의미이다. 음양오행을 다루는 명리학에서는 음기가 강하면 양기도 강해지니 음기의 응집력이 강하면 양기의 폭발력도 강해지는 것이다. 子수의 종착점은  巳화까지이고 午화를 견제한다. 이는 동양사상에는 인생의 윤회관(輪回觀)이 있는         것처럼 子수는 다른 세계에서의 새로운 삶을 의미하니 이는 죽음을 통해 밝은 세상 즉    새로운 세상으로 가니 동양의 전통적인 상복은 흰색인 것이다.


천간과 달리 지지에는 시간, 방위, 동물적인 개념이 들어가 있으니 이에 대한 통변이 아주 중요하게 되며 이는 연지를 중심으로 극단적으로 활용하는 12 신살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게 된다. 子수와는 달리 巳午화는 일을 벌리는 것은 좋으나 완벽성이 떨어짐이 단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