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론

오행별 편인(偏印)에 대한 소고

기림역학 2015. 11. 20. 01:33

 

 

Image origin/Blog captured


■오행별 편인(偏印)에 대한 소고

 

甲壬편인 - 甲壬丙戊. 정신적, 이론적, 전체적인 양간이니 전형적인 편인이 되며 甲목   일간은 火金식관이 왕한 사목이든 水木인비가 왕한 생목이든 壬수편인을 잘 활용한다.  巳월에서 戌월까지의 "甲癸정인"은 癸수정인이 약하니 사목인 甲목일간이 썩어버릴     우려가 있으나 "甲壬편인"은 壬수편인을 잘 활용하며 깊이가 있고 독특한 기술, 학문을 하는 것이다.

 

土기재성의 유무로 실용성을 살피나 편인격국이 되면 亥子丑월인데 조후가 시급하기    때문에 火기식상이 있어야 꽃을 피우니 火기식상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壬수편인이     왕하면 부목이 되니 이런 경우에는 戊토, 戌토 재성이 시급하다. 丙화식신이 있으면      대중적으로 인정을 해주는 보편적인 실력이 되고 丁화상관은 술객, 도인냄새가 난다. 火기 식상이 없으면 甲목일간은 壬수편인 속에 빠지게 된다.

 

癸편인 - 乙癸丙戊. 편인격국이면 엄동설한(嚴冬雪寒)이니 火기식상이 있으면 乙목  일간은 특용작물이고 결과가 있으니 전문적, 실용적, 기술적인 편인이 된다. 손재주,      인테리어(Interior), 아기자기, 특별한 것을 만들며 빠르다. 재료가 부족해도 맛있고       빠르게 특별한 요리를 만든다. 정인격국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현실적 감각인 土기재성이 없으면 판매할 시장이 없으니 결과가 없게 되고 도식의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일식 요리사는 실력, 눈썰미, 미적감각, 손재주가 섬세해야 하며 土기    재성이 없는데 개업을 하게 되면 곧 문을 닫게 되니 유의할 일이다. 乙목일간이 얼어      버리면 흉하나 운에서 한 번은 피는 경우가 있으나 편인이라 지속성, 현실감각이 없음이 흠이 된다.

 

丙甲편인 - 丙甲庚. 규모(Scale)가 크고 전문성이 있는 가장 좋은 甲목편인이며 재성의  역할을 하며 丙화일간은 甲목편인이 없으면 공허하다. "丙甲庚"은 전문가의 명(命)이며 亥월의 甲목편인격이 가장 좋다. 甲목편인은 다년생 나무이니 지속성이 있으며 궁합,    코드가 맞게 되며 설계와 시공을 잘 한다.

 

丁乙편인 - 乙목편인은 생목이니 丁화일간이 빛일 확률이 많으며 만약에 열이 되면 乙목편인의 도움이 없고 빛이면 순환주기가 빠른 乙목편인은 상당히 특화된 기술이 된다.     예민, 정보수집, 대처, 적응, 판단능력이 빠르며 시대에 맞는 기술, 손재주를 활용하는    기술, 유행을 빨리 파악하니 현물시장, 옵션(Option) 등의 직업이 좋다. 지속력과 규모,  스케일(Scale)은 甲목정인보다 떨어지며 가야금 등 예능인들이 많고 디스크, 치질 등     특수한 분야의 수술을 잘하는 의사가 많다.

 

戊丙편인 - 음양이 반반이니 丙화편인의 특수성이 가려지며 통제받기 싫어하니 직장,    제도권은 맞지 않는다. 음지가 생기니 찬반, 호불(好不) 등이 갈리고 丙화편인 전체를    활용하기 어렵다. 丙화편인이 강할수록 그늘이 짙어지며 木기관성이 있어도 丙화편인    전체를 활용하기 어렵다.

 

己丁편인 - 열, 丁화편인은 己토일간을 말려 버리니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엉뚱한 짖을  하게 되며 좋은 기술을 사업화 하다가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 水기재성의 작용이          중요하고 만약, 水기재성이 없다면 문제의 소지가 많게 된다.

 

庚戊편인 - 庚戊甲丙. 비현실적, 독특한 생각이 있고 일을 해도 일반적인 접근방식이     다르며 현실성이 떨어지며 의심이 많다. 木기 재성과 火기관성이 필요하다.

 

辛己편인 - 辛己甲.토편인에 의한 水기식상의 탁임과 매금이 우려되니 소토하는    木기재성이 절실하며 습토인 己토편인은 戊토정인과 달리 크게 매금하지 않으나 왕하면 역시 매금하는 작용을 한다. 주도권을 먼저 살펴야 하는데 己토편인은 나무인 木기재성을 키우고 싶어하기 때문에 "辛己편인"은 生과 洩의 균형이 약하며 壬亥수 상관을 선호하고 탁임을 해결하는甲목정재가 절실하다.

 

"○辛己壬"의 命에서 壬수상관을 탁임하는 己토편인이라 편법, 위법, 잔꾀, 과욕으로     관재수가 발생하게 되며 반드시 정수기 역할을 하는 木기재성이 필요하다. 木기재성으로 제화가 안 된 己토편인은 좋은 재주, 기술을 오락잡기 등에 사용하고 비현실적 일, 비난을 받는 일 등 엉뚱한 방향으로 사용한다. 己토편인이 壬수상관을 탁임하면 기발, 허황,      교묘하게 불법적인 일을 저지른다. 편성의 작용력은 빠르며 乙목편재 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남녀 "辛乙편재"는 꽃을 꺽을 줄 하는 멋쟁이, 바람둥이며 돈은 탁임된 물에 있다. 편인은 식신을 도식하는데 식신을 부패하게 하거나 작용을 못하게 하는 것이며 水기식신이       부패하면 辛금일간이 녹이 쓸어 작용이 불량하게 된다.

 

壬庚편인 - 壬庚甲. 상생과 생설이 아주 잘 어울리고 팽팽한 기운이 느껴진다. 마르지   않는 물이고 지속적인 수량을 유지하며 庚금편인의 생하는 기운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정인같은 편인이고 생하지 않는 辛금정인은 불만족스럽다. 왕한 水기는     거침없이 휩쓰니 통제가 어렵고 한 쪽으로 몰리고 쏠리는 경향이 있으미 약한 듯한 壬수일간이 가장 좋다.

 

癸辛편인 - 맑은 물이며 生洩의 작용력이 어울리지 않고 이는 정신적으로 도와주지       실제적인 물의 양으로 도와줌이 아니다. 반대로 "癸庚정인"은 탁수가 된다. 亥子丑이    없다면 차라리 辛금편인으로 生하여  청수가 됨이 났고 청수가 되면 깔끔, 아쌀, 시원,   투명하나 나쁘게 표현하면 까탈스럽고 결벽증이 있으며 남하고 어울리지 못한다. 木기의 식상과 火기의 재성이 있으면 즉 조후와 통관이 좋으면 맑고 밝으며 온화하다. (훈)



Image origin/Blog capt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