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 origin/Blog capture
■오행별 정관(正官)에 대한 소고
甲辛정관 - 곤명(坤命)은 불만족스럽고 짜증나는 辛금정관 남편이 된다. 매사에 분명하니 정신적, 내부적인 일이 적성이 되고 편관격은 외부적, 영업직이 적성이다. 辛금정관은 甲목일간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가 어려우니 부분적으로 통제, 규제하는 일이 좋고 전체를 맡기면 스트레스(Stress)가 많게 된다. 맺고 끈음, 공사구분이 분명하며 체면, 명분을 많이 따지고 명예욕이 강하며 외부반응에 민감하다.
열, 丁화상관이 오면 상관견관(傷官見官)이 되니 辛금정관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辛금 정관은 乙목겁재를 치니 주변에 잡스러운 것이 꼬이지 않고 사생활이 깔끔하며 구설이 생기지 않으나 까다롭고 비위를 맞추기 힘든 사람이다. 辛금일간은 土기인성보다는 水기식상을 원하고 壬亥癸子수가 있으면 실력이 좋은 일간이 된다. 辛금일간은 戊己토 인성을 좋아하지 않는다.
乙庚정관 - 정관 중에 정관이 된다. 乙목일간을 보호하고 유정하게 통제하나 극 신약한 乙목일간에게는 살기로 가니 꽃이 안 피는 나무가 되고 결혼 후에는 건강이 나빠지고 실속이 약하며 허명을 취하게 된다. "甲辛정관"은 살기가 안 된다. 水기인성을 선호하니젊잔은 양반이다. 土기재성이 있으면 부지런하나 일간이 극신약하게 되면 일에 치이게 된다. 주변을 잘 활용하고 외유내강(外柔內剛)인 庚금정관이 되면 인사, 총무, 조직관리의 일이 적성이며 반듯하고 정확한 정관이다. 환경적응력이 강하고 일을 할 때는 무섭게 한다.
丙癸정관 - 丙화일간을 가리는 癸수정관이 되며 庚금을 제외한 모든 양간은 정관을 무시하는 성향이 강한다. 왕한 성취욕에 비해서 만족을 못하며 알량한 자리가 일간의 발목을 잡는 느낌을 갖는다. 木기인성이 있어 水기관성을 소통하게 되면 관인상생 (官印相生)이 되고 정관이기는 하나 안정적이지 않으니 자리, 직장의 변화의 심하니 지사, 영업, 해외파트가 좋다. 癸수정관이 조후용신일 경우에는 사회생활이 안정적이기는 하나 그래도 자리에 대한 불만은 여전하게 된다.
丁壬정관 - 어려운 상황에서 독야청청(獨也靑靑)한 형상이고 위엄, 꼿꼿함, 깨끗함이 돋 보이고 이미 빛으로 변한 丁화일간이고 깜깜한 밤에 돋 보이게 해주는 壬수정관이다.뛰어난 정신력, 고운 심성, 투명하며 선비기질이 느껴지며 유정하니 규범준수, 질서, 언행 등이 일치하는 진짜 선비이다. 木기인 化氣인성이 생기니 영리, 아이디어(Idea), 비젼 (Vision)을 가지고 있는 일간이기도 한다.
戊乙정관 - 정신적인 戊토일간에게 실리적인 乙목정관은 양에 안차고 활용도가 떨어지나 다만 세밀한 일은 잘 한다. 빠른 순환, 현실감 등은 있으나 큰 덩치에 하는 일은 소심하고 부분적인 일을 한다. 명예, 책임을 따지는 정관이나 만족도가 떨어지고 체면이 안 선다고 생각한다. 시작은 작게 하나 나중에는 감당을 못하고 전전긍긍(戰戰兢兢)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乙목정관은 일년생식물이니 자리에 대한 변화가 많고 庚금식신이나 辛금 상관이 오게 되면 乙목정관을 베어버리고 엉뚱한 짓을 하니 사업적인 활용이 힘든 乙목 정관이라는 의미이다. "戊甲편관"은 정신적, 안목, 통제력, 위용이 있으며 양간은 편관을 선호한다.
己甲정관 - 己甲丙. 甲목정관을 가장 실용적으로 잘 활용하니 己토일간의 활용도가 살아나게 되며 직장이 바뀌면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己토일간은 자기를 주장하지 않고 받아들임이 숙명이니 변화가 긍정적이다. "戊乙정관"은 능력은 약하나 공적인 정관이고 "己甲정관"은 철저하게 개인적, 실용적인 정관이 된다. 정관은 실용성이 떨어지나 그 중에서 "己甲정관"이 가장 현실적, 실용적이다.
저돌적인 甲목정관을 통해 己토일간이 돈은 번다. 火기인성이 있어야 관인상생(官印 相生)이 되어 능력을 발휘하며 실속있는 실관, 정관이 되는 것이다. "己甲정관"은 어지간하면 실용적인 생목으로 보며 생목인 甲목정관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甲목 정관이니 실용적, 가시적인 직책, 권한이 있는 정관이 된다. 사목은 정신적, 허관, 명예 관을 의미한다. "戊乙정관"은 결과를 내기가 힘들다.
庚丁정관 - 庚丁甲. 丁화정관은 용광로의 역할이고 庚금일간을 제련하니 적극적, 전문적, 실무적, 현실적인 丁화정관이 된다. 격국을 이루면 巳午未월이고 열작용을 한다. 사목인 甲목편재가 있으면 부귀를 누리게 되며 양간 중에서 정관을 좋아하는 것은 庚금뿐이다. 木기재성이 없으면 가난한 선비가 되고 실천적, 전문적인 실력이 있는 丁화정관이고 이를 통해 일간의 진가를 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책임, 성실, 노력파이고 자수성가(自手成家)를 한 사람들이 많다. 未토 중에 丁화는 약하다. 庚금일간에 丁화정관이 약하면 일간에게 짐이 되니 일에 대해서 쩔쩔매게 된다. 庚午일주는 제련된 좋은 일주이다. 丁화일간은 庚금정재가 있어야 할 일이 있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니 전형적인 기술자, 엔지니어(Engineer)이다.
辛丙정관 - 辛丙壬. 간합. 丙화정관에 의해 辛금일간이 드러내지며 丙화정관이 실용적, 현실적, 부분적, 사적으로 변하게 된다. 책임감, 예의범절, 질서를 잘 지키고 정장을 선호하며 깔끔하고, 시각적으로 반듯하고 아름다운 정관이 된다. 타인에게 보여짐, 체면에 신경쓰니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이 떨어진다. 월급이 약하더라도 남에게 보여지는 반듯한 자리나 경비를 하더라도 정장을 입는 경비직을 원하게 된다. 정관이 발달되어 있으면 외적인 자존심, 남을 많이 의식하며 남이 알아주기를 원한다. 능력을 발휘하는 壬수상관이 丙화정관보다 더욱 중요한 작용을 한다.
壬己정관 - 壬수일간 입장은 기토탁임(己土濁壬)을 하는 己토정관이 불만족스럽고 격국을 이루면 壬수일간을 조절하나 역시 불만족스럽고 역량있는 남편이나 좀스럽다고 생각을 하는 壬수일간이 된다. 壬수일간은 흘러야 하는데 己토정관의 집요한 간섭이 싫고 답답해 하며 이혼도 힘들다. 戊토편관은 잘 활용하나 己토정관의 직장은 양에는 차지 않으나 끝까지 다닌다.
癸戊정관 - 간합. 癸수일간은 고지식, 무변화, 완고한 戊토정관 때문에 봉사와 희생을 하게 되며 현실적, 실용적인 戊토정관이 되며 癸수일간은 戊토정관이 불만족스럽지 않다. 癸수일간이 亥子수에 통근하면 제방(Dame)을 이룬 戊토정관이 쓸모가 있어지며 격국을 이루면 거대한 소양댐이 되니 깊이, 무게감이 있는 戊토정관이 된다. 자리가 정해지면 좀처럼 움직이지 않고 갈수록 부드러워지고 현실적으로 변하는 戊토정관이 되는 것이다.(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