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庚상관에 대하여 ○己庚丁. 己토일간이 庚금상관에게 도기되어 사적인 경향이 강하게 된다. "戊甲 편관"은 반듯하고 뚜렷한 사회활동을 하나 金기식상이 있으면 사적으로 흐르게 되니 木기관성을 가지고 있는 戊己토 일간의 공적인 부분이 사적으로 많이 변질이 되니 火기인성이 절실하게 되는 것이다. 신약한 己토일간은 도기가 더욱 심하게 되니 지지에는 土기비겁보다 巳午화 인성이 있으면 길한 순작용을 한다. ○己庚丁. 庚금상관이 왕하면 쓸데없는 언행, 일, 속을 긁는 말로 관재수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火기인성이 약하더라도 己토일간이 신왕하면 庚금상관을 잘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생재(生財)의 작용을 하더라도 기복이 심하게 되고 힘들게 일을 하는 庚금상관이 되며 건강에도 문제가 생긴다. "乙庚육합"은 "상관과 편관의 합"이 되니 편법을 써서 일을 도모하다가 관재구설에 휘말리게 된다. 공적을 가장해서 사적으로 이용한다. 己토일간이 庚금상관에게 끌려가니 열, 火기인성이 절실하게 되며 욕심을 피우다가 사건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戊庚식신"은 캐낼 것이라도 있으나 "己庚상관"은 木기인 나무 관성을 키우지도 못하고 캐낼 것도 없게 되니 일을 어렵게 하고 또 꼬여서 되는 일이 없게 된다. "乙庚육합"으로 상관 합살을 하면 사적, 편법으로 乙목편관을 키우고 열, 火기인성이 없으면 기복이 심하게 된다. 土기일간이 金기식상을 보면 사적으로 변하여 많은 부(富)를 축적할 수 있게 되고 木기 관성과 火기인성을 보면 공적인 성분이 강해진다. 戊토일간에 金기식상도 그렇지만 火기인성이 강해져도 개인적으로 변한다. 통제, 통솔해야 하는 신왕한 戊토일간이 金기식상이 오면 현실성있게 변하는 면은 좋은데 지극히 개인적, 옹고집(壅固執)으로 변한다. 주도하는 庚금상관은 己토일간을 도기하는 수준이다. 열, 火기인성이 있으면 庚금상관이 제련되니 관성인 나무를 기를 수 있게 된다. 열, 火기인성이 없는 庚금상관은 己토 일간에게 장애물이 되니 경작을 해야 하는 논밭에 철탑, 바위가 있는 형상이고 생산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신약한 己토일간에 庚금상관은 과욕으로 쓸데없는 일, 감당을 못하는 일만 저지르며 노력에 비해 결과가 미약하게 된다. 庚금상관은 木기관성을 무력하게 하니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기 힘들다. "○己庚壬"으로 상관생재 (傷官生財)를 하더라도 기복이 심하고 쓸 때 없는 것을 생산하니 반드시 火기 인성으로 패인(佩印)을 해야 하며 패인(佩印)이 잘 되어 있으면 남들이 하지 않는 특이한 것을 생산하니 특수하게 좋다는 의미이고 논밭에서 사금을 캐는 형상이다. 그 외에는 부정적인 역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결과가 좋다면 건강, 질병을 얻게 되니특히 신약한 일간의 경우가 그렇게 되는 것이다. 편성들은 일간이 신왕해야 길하게 되며 길흉이 극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신왕하면 탈진은 안 되지만 지극히 개인적으로 변한다. "겁재에 상관"이면 인정사정 없이 일을 추진한다. 庚금상관과 乙목편관과는 "상관합살(傷官合殺)의 제화"인데 흉성끼리의 육합이니 의외의 일이 갑자기 발생하는데 처음에는 좋았다가 나중에는 흉한 일로 돌아가게 되니 편법을 쓰다가 관재구설(官災口舌)에 휘말리게 되는 것이다. 열, 火기인성부터 찿아보고 없다면 관성인 나무를 기를 수가 없으니 인생의 기복이 심하게 된다. 연월간, 시상, 지지의 상관은 해석의 차이가 크니 이에 대한 차이점을 유의해서 통변을 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