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물상론

丙辛정재에 대하여

기림역학 2015. 9. 14. 00:05

 

 


  

■丙辛정재에 대하여

정재(正財)는 계산, 관리, 실용적인 활용을 하고 편재(偏財)는 경영을 한다. 辛금정재는  보여지고 들어내는 것을 좋아하는 속성이 있다. 丙화일간이 辛금정재를 만나면 애드벌룬(Ad-balloon)이 되니 丙화일간은 辛금정재의 소유물이다. 땅에 발을 댄 丙화일간이니   이상적, 전체적인 것이 없어지고 실리적으로 변하여 辛금정재만 비추는 떨어진 태양이  되는 것이다.

합화된 오행은 생각, 정신으로만 활용한다. 壬수편관이 있으면 길하고 辛금정재 입장도    아주 길하다. 水기관성이 없는 丙화일간은 안목, 이상, 계획은 높고 좋으나 현실감이        떨어지고 괴리감이 크다. 남녀, 조열한 丙화일간이 결혼하면 水기관성을 만드니 현실적이 되고 좋아진다. 일반적인 정재의 특성과는 달리 辛금정재는 편재처럼 들어내고 자랑하며 辛금의 입장은 좋다.

양간 중에 합이 되면 丙화와 甲목이 가장 실용적으로 변한다. 너무 이상적이고 조열한   丙화에게는 辛금정재가 좋은 역할을 한다. 金水재관이 왕하면 현실감이 지나쳐 현실에  대한 불만이 많고 밤의 일에 관심이 가 있다. 지지에 金水재관이 왕하고 "丙辛육합"으로 떨어진 해가 된 丙화일간은 공평무사(公平無私)함을 드러낼 수가 없게 되니 불평불만이 많고 비현실적이 된다. 높은 하늘에 떠 있는 丙화일간이 본연의 역할을 하고 현실적인   일을 완성한다면 오랜 시간이 통해서 달인이 된다.

"丙辛육합"이 되면 辛금정재는 아주 좋고 丙화일간은 원래 목적인 木기인성을 키우지     않으니 큰 일을 하지 못하고 돈이나 일 등의 하찮은 일에 매인다. 土기식상보다는 水기  관성을 선호하니 "丙辛정재격"이면 土기식상보다는 水기관성을 용(用)한다. 외부에게     보여지고 허세, 잘 난 척을 하느라고 다른 정재에 비해서 실속이 떨어진다. 실내에서     활동하는 丙화일간이 되고 적은 돈에 집착하는 서산에 떨어진 丙화가 되는 것이다. 




'천간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丙癸정관에 대해서  (0) 2015.09.14
丙壬편관에 대하여  (0) 2015.09.14
丙庚편재에 대하여  (0) 2015.09.14
丙己상관에 대하여  (0) 2015.09.13
丙戊식신에 대하여  (0) 201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