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살(年殺)에 대하여
궁녀, 도화살, 목욕, 교제살 등을 의미하는 연살은 인수(印綬), 공부, 학문, 미인 등의 의미가 있으며 남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힘, 끼, 전문가 등의 자질이 있으며 이미지가 상궁(尙宮)이니 연살대운에는 기다림이 있게 되고 매사가 늦어진다.
또한 연살에는 반복과 중복의 의미가 있으며 사회성이나 사교성이 좋고 교제살이니 교제비가 많이 나가게 됨을 통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연살을 명(命)에서 찾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호랑이띠, 말띠, 개띠인 인오술(寅午戌)생은 卯목 즉, 토끼띠가
♠ 원숭이띠, 쥐띠, 용띠인 신자진(申子辰)생은 酉금 즉, 닭띠가
♠ 뱀띠, 닭띠, 소띠인 사유축(巳酉丑)생은 午화 즉, 말띠가
♠ 돼지띠, 토끼띠, 양띠인 해묘미(亥卯未)생은 子수 즉, 쥐띠가 연살(年殺)에 해당된다.
연살이 명(命)에 있거나 연살대운이 오게 되면 사교성을 발휘하는 사업운이 좋고 왕으로부터 하사금을 받으니 횡재수(橫財數)가 있게 되며 상궁은 왕이 한 번 방문을 해 주면 바로 인생이 확 피게 되니 함바집, 관광지 식당 등의 한 철 장사, 입찰사업 등이 좋다.
또한 상궁은 왕을 홀려야 하니 요염해지며 기다림의 연속이니 끈기와 인내심은 강해지고 왕이 한 번 방문을 해 주면 바로 인생이 확 피게 되니 운이 좋으면 고진감래(苦盡甘來)하고 대박을 치는 운이 된다. 그러나 연살대운에는 빌려준 돈은 받기가 힘들고 허가나 발령도 기다려야 하니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연살(年殺)띠는 나의 상궁(尙宮)이니 나에게 잘 하는 사람이며 도화살(桃花煞) 띠의 자식은 혼외정사 (婚外情事)나 속도위반을 하여 낳은 자식이고 연살이 있는 사람은 누군가를 위해 오랜 시간, 후원을 하거나 뒷바라지를 하는 사람일 것이다.
왕은 자주 방문하지 않으니 큰 아이가 연살(年殺)띠가 되는 경우에는 둘 째를 위한 임신도 어렵고 또한 오래 걸리게 된다. 임신뿐만 아니라 매사가 늦어지고 꼬이며 기다림의 연속이니 지인(知人)도 많고 끼도 많고 자질도 있으나 능력발휘가 어려운 것이 안타깝다.
내점법으로 통변하는 방법은 연살(年殺)일진이나 연살세운이면 기다림이니 "소식을 기다리고 있구나!!" 라는 단즉사(單卽辭)가 가능하며 연살대운이나 연살띠의 애인은 한 번 떠나가면 돌아오지 않음을 통변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살이 살기(殺氣)로 작용하면 경국지색(傾國之色)이고 주색잡기나 불륜 등으로 망신을 당하게 되며 년지나 월지의 연살은 불륜이나 사통(邪通)의 느낌이 강하다. 연살(年殺)과 원진살이 동주(同舟)하면 강한 기다림을 의미하니 머리와 인물은 좋은데 결혼이나 결혼생활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궁녀는 한이 맺혀 죽으니 띠를 기준으로 해서 연살띠는 연살월에 죽게 되며 만약 인오술(寅午戌)생이 卯월 연살(年殺)월에 돌아가신 분의 제사가 많다면 이는 한이 많은 부모가 죽은 뒤에 인오술 띠의 자손에게 할 말이 있다는 의미가 되니 이에 해당되는 자식이 제사나 천도제를 모셔서 한을 풀어드려야 운이 좋아지게 되니 이는 중요한 개운법이 될 것이다.
남자에게 일주를 기준으로 연살(年殺)이 있거나 연살의 운에는 경우에는 연상의 여자와 인연이 되고 연하의 여자라면 7 ~ 10살 정도의 어린 처를 얻게 되며 여자에게 연살이 있거나 연살운이면 연하의 남자나 남편이 인연이고 연상이면 10 ~ 20년 정도의 차이가 나는 남자니 남편과 인연이 되니 상관을 닮았다.
명(命)에는 연살이 없는데 연살대운에 결혼을 하게 되면 연살의 상대와 결혼을 하게 된다. 寅午戌생 즉, 호랑이띠, 말띠, 개띠인 사람이 卯목연살 대운에는 멋을 내고 다니고 시대운(始大運)이 연살이 되면 평생 멋을 내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인 것이다.
연살의 방위를 살펴보면 집 안에서의 연살 향(向)은 예쁘게 꾸미고 싶은 곳이니 연살 向의 베란다는 예쁜 화초를 기르는 장소가 되고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탁실의 용도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연살 向으로 출근하는 사람은 그 회사의 중견간부 이상, 정장을 입고, 화장, 공부를 많이 한 비서, 오른팔 역할을 하는 직원임에 틀림이 없다.
연살의 아내는 예쁘고 멋쟁이며 연살자식은 예쁜 자식이니 막내들에게 많고 연살의 종업원은 예쁘고 똑똑한 비서, 측근인 것이다.
'12 신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망신살(亡身煞)에 대하여 (0) | 2020.10.27 |
---|---|
■ 월살(月殺)에 대하여 (0) | 2020.10.24 |
■ 지살(地殺)에 대하여 (0) | 2020.10.22 |
■ 천살(天殺)에 대하여 - 2 / 2 (0) | 2020.10.21 |
■ 천살(天殺)에 대하여 - 1 / 2 (0) | 202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