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인자론

巳화 인자론

기림역학 2020. 2. 6. 17:21

 

 


화 인자론

 

의 어원은 일어 날 기()”, “이미 기()”에서 왔다. 뱀의 형상인 아지랑이가 피니 시야가 잘 안 보이는 일이 생기게 되고 시기적으로는 이미 파종이 끝났으므로 옛 것을 버리고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나게 된다. 뱀은 냉혈동물이 아니고 변온동물이나 기하고는 대치되는 측면이 있다.

 

월은 여름의 시작이고 극양(極陽)인 육양(六陽)이니 다음 달인 월 부터는 일음시생 (一陰始生)이라 지하수가 시원하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절기로는 입하(立夏), 소만(小滿)이 있고 농촌이 가장 바쁠 시기이니 두레, 품앗이, 단체, 조직, 협동, 단결, 결사, 집약의 의미가 강하니 뱀, , 소띠인 巳酉丑생들은 단체적인 힘이 있고 그 단체에서 핵심역할을 하게 된다.

 

공사가 분명하고 경우가 밝으며 통솔력이 강하나 그렇지 못하게 되면 단체생활을 잘못하는 경향이 있다. 농촌에서는 파종, 구분을 할 시기이고 논두렁의 경계와 구획을 확정 지을 때이니 그린벨트, 재개발, 구획정리 할 일을 겪게 되며 파종할 시기라 겸손, 욕심이 없고 수양을 쌓을 여지가 있으며 미래 지향적이다.

 

AM 9 ~ 11 시인 시는 농촌의 주부들이 바쁜 시간이라 여자들은 잔손이 갈 일이 많게 되고 효심이 강해 시부모, 시형제 등의 부양가족이 있게 되며 반대로 충하는 수는 잔손 갈 일을 안 하고 효심이 없게 됨이 보통이다. 뱀을 보면 피하니 경계하는 사람이 있거나 생기게 된다.

 

동물성은 다산(, , 돼지띠)), 재물, 풍요를 의미하며 동면과 허물은 지혜, 부활, 재생, 영생, 불사, 치료능력, 의술의 신, 독 등을 의미한다. 뱀은 변온동물이니 변덕의 이중성은 약물중독, 마비, 공포심 유의, 예언, 영매의 역할 등을 하며 뱀의 동물성은 독성이 있어 주변의 사람들 중에 경계(의 극단)하고 등 돌리고 사는 사람이 있게 된다.

 

늘 변화를 추구하나 변덕이 심하고 편중된 명()은 불같은 성질이 아주 강하다. 역마성은 비행기, 항공운송, 통신수단(인터넷, 광속도, 광케이불 등), 빠른 행동, 역전, 주차장 등의 의미가 강하다.

 

집 안의 수호신이고 이중성격인 경우도 있으며 뱀은 배가 부르면 움직이지 않으니 욕심이 없고 착하다. 장애물이 있으면 돌아가고 먼저 숨으니 겸손하고 유연하며 뱀은 뒤돌아 가지 못하니 반골기질이 있고 고집이 아주 강한 것이 일반적이다.

 

화대운이나 화가 왕한 경우에는 바쁘고 포부가 크며 멀리 볼 줄 알고 노력을 다하는 농부의 마음이 된다. 현재의 일 보다는 미래의 일에 관심이 많고 까다롭지 않아 사주 보기가 쉬운 사람들이 많다. 봄에는 씨를 심고 가꾸는 시기기 때문에 직장이나 사업을 바꾸면 망하기 쉬우나 해외에서의 사업은 좋을 것이다.

 

종교, 교육, 수양 등을 지향하는 운이고 남들은 모두 바쁘니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건달도 사람이 되는 운이며 부수입, 부업이 생기게 된다. 또한 열을 받으면 내지르니 종종 구설수에 휘말리게 되니 조심을 하면서 살아야 할 것이다.

 

인체로는 소장, 심포, 얼굴, , 이빨 등을 의미하며 광선을 이용한 치료, 조명기구, 간판, 네온사인, 열기구, 난로, 솥도 화의 인자이고 또한 긴 것이니 국수, 분식점, 기차, 전차, 트레일러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기이니 연료, 인화물질, 폭발물, 독극물, 가스, 석유, 화공약품, 고무, 통신수단, 전화, 인터넷, 보일러실 등을 의미하기도 하며 밝음은 번화가면서 차들이 많이 모이는 곳, 밝은 곳, 정류장, 역전, 주차장, 터미널, 공항, 운동장, 로타리 주변에 살거나 이런 일과 관련된 일이 적성이 된다.

 

호랑이, , 개띠인 寅午戌생은 망신살대운이기 때문에 혼사가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되며 망신살의 의미는 내 편인 줄 알고 속내를 모두 보여 주었는데 내 편이 아니라는 실망, 상실감 등을 느낌을 의미한다. 망신살의 사람하고는 금방 친해지고 도움을 청할 때도 망신살의 방향, 띠의 사람도 도움이 되고 힘과 실력이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본인의 약점과 약한 면을 모두 알고 있으니 코가 꿰일 염려가 있고 나이 먹은 사람이 망신살운이 오거나 명()에 갖고 있으면 알몸을 보이게 되니 죽거나 병원에 갈 일이 생기게 된다.

 

화의 오행적 관점은 화의 역량을 살필 때 월지와 사령, 조후를 따져 보아야 한다. 지장간의 화가 사령하고 명()기가 강하다면 지장간 금의 작용력은 약해진다. 화가 삼합이 되어 있지 않거나 기가 투간되어 있지 않다면 금을 사용하는데 단련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巳午未방합"을 이루고 있으면 금을 사용하기 어렵다.

 

화일간에 巳酉丑 중에 한자라도 지지에 있다면 한 번은 큰 돈을 만질 기회가 있게 된다. 목이 화를 보면 망신살과 삼형살이 된다. 지장간을 보면 목이 화에게 모든 걸 다 주었는데 결국은 금이 목을 치니 무은지형(無恩支刑)이 되는 것이다. 형이란 원래의 것을 다 쓰지 못하고 수정, 삭감, 바꾸고 고쳐서, 가공해서, 수술해서 사용하는 의미이다.

 

巳酉丑이 어울리는 이유는 소는 뱀독을 무서워하지 않고 돼지는 뱀을 먹고(巳亥沖), 소와 닭의 사이는 좋다. 중기를 사용하는데 寅申亥와는 달리 화만 활용함에 있어서 곤란함과 단련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사신(巳申)”은 육합형파(六合刑破)인데 주도권은 주위의 오행을 살펴야 할고 육합(六合)을 깨는 것이 육해살(六害殺)이니 육해살이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면 인덕(人德)이 없게 된다. "○○/巳酉"의 명()에서 화의 처가 처음에는 본연의 역할을 하나 점점 역할을 잊어버리게 되며 몸이 약해지고 죽게 되는 경우도 왕왕 있으니 손님이라면 생명보험을 권하면 좋을 것이다. "○○/巳申"의 명()에서 화의 처는 그 역할과 관계가 오래 간다.

 

사술(巳戌)”은 원진살, 귀문관살(鬼門官殺)이 되고 화의 활동력은 토가 묘지라 원진살 (怨嗔殺)이 되는 것이다. 기가 없고 조후가 불량하면 원진살, 귀문관살의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니 이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해 불만, 원망, 갈등이 생기게 되는 것이며 애를 못난 귀신의 작용이라고도 한다.

 

뱀은 개소리를 싫어하니 허물을 벗을 때 개가 짖으면 뱀이 죽는다. "사행충(巳亥沖)"은 멀리 있는 충()은 좋고 가까이 있으면 처음에는 서로 강하게 작용하나 시간이 갈수록 한 쪽의 작용이 서서히 없어지게 된다.


화가 형살(刑殺)을 이루는 곤명(坤命)의 예문 3 개를 살펴보면


곤명(坤命), "壬己○○/申巳寅"의 명()에서 목이 삼형살(三刑殺)을 맞으니 관()을 쓰기가 쉽지 않다. 목을 삭감, 수술, 조건부 활용을 해야 하니 남편의 건강에 문제가 있게 되거나 남편이 삼형살의 직업에 종사하고 떨어져 살면 남편이 본연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대로 된 남편의 역할을 하기가 어렵게 되며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작용 이전에 형()과 형살(刑殺)을 먼저 구분한 고려를 해야 좋은 통변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곤명(坤命), "○○/子巳寅"의 명()에서 (戊庚丙)화는 "인사형(寅巳刑)"의 직장의 남편이 되니 권력, 수술, 의술, 형벌권의 직장, 대기업이라면 가공, 제조하는 공장, 또는 역마와 관련된 직장에 근무하게 된다. 여자의 입장에서는 남편 복은 있으나 남편이 힘든 환경에서 생활을 하게 되며 庚申금 투간운이나 삼합인 금운에는 남편의 신상에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 운이 된다.

 

곤명(坤命), "壬己○○/申巳○○"의 명()에서 수운은 "사해(巳亥)"은 재성(財星)이 와서 정인(正印)을 충하니 육합(六合)은 깨지게 되고 계획의 변동이 있게 되니 생각만 하던 것을 행동으로 옮기게 된다. 일지의 충()은 조용하던 처가 돈, 바람 때문에 가출을 하게 됨을 의미하며 명()에 인신사술(寅巳申戌)이 있으면 역마, 권력 등의 직종에 근무하게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역마, 권력 등의 직종에서 시달리며 살게 된다.









'지지인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未토 인자론   (0) 2020.02.09
午화 인자론   (0) 2020.02.07
辰토 인자론   (0) 2020.02.02
卯목 인자론   (0) 2020.01.29
寅목 인자론   (0)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