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학

역마살의 종류와 역마살(驛馬殺)이 공망, 원진살, 그리고 합형충이 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림역학 2020. 1. 1. 17:00

 

 


역마살의 종류와 역마살(驛馬殺)이 공망, 원진살, 그리고 합형충이 되는 경우에 대하여

 

지살(地殺)은 년지 삼합의 생지(生支)를 의미하고 년지 삼합의 첫 자를 충하는 생지가 역마살이 되니 지살과 역마살은 서로 상충하게 된다. 활동성을 의미하는 역마살은 잦은 이사, 여행, 이동, 변동, 발전 등을 의미하며 지살과 작용력이 비슷하기는 하나 역마살은 지살보다 활동범위가 넓다.

 

이러한 역마살이 명()에 있는 일간은 대체적으로 활동성이 강하고 성격이 부지런하며 여행 등의 이동을 좋아하는 특징이 있고 단점은 성급하고 일을 크게 벌리며 항상 바쁘고 결혼생활에서는 별거, 이별수가 있게 되니 역마살이 강한 명()은 배우자가 강해야 무난한 결혼생활을 할 것이다.

 

()에 역마살이 있으면 일간이 신왕해야 추진력이 강하고 길하게 되며 반대로 신약하다면 가치관이나 마음이 수시로 변하게 되고 분주하니 삶이 고단하게 되며 노력한 결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고서에서는 명()에 역마살이 있어야 빠른 등과를 하여 벼슬길에 나가게 되고 공경의 지위에 오르려면 사마(四馬)가 있어야 된다고 했다. 역마살의 직업은 외교, 운수업, 무역업, 여행업, 서비스업, 영업직, 운반업, 택배업, 운전기사, 해외생활 등이 길하다.

 

이러한 특징이 있는 역마살의 종류에는 록마살(祿馬殺), 재마살(財馬殺), 활마살(活馬殺) 그리고 천마살(天馬殺) 등이 있으니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록마살은 일간의 록지(祿支)가 역마살이 되니 양간에게만 작용되고 이마(二馬)라고도 하며 역마살 중에 가장 강한 말이 되고 공직에 있게 되면 대길하게 된다. 재마살은 일간과의 관계에서 재성이 역마살과 동주(同舟)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역시 재물과 관련이 있는 길한 말이 되는 것이다.

 

활마살(活馬殺)은 일간의 동일한 오행 즉, 비견(比肩)과 함께 하는 역마살이니 예문을 들면 己己/亥巳의 명()이 되는데 이는 활동성이 아주 활발한 역마살을 의미하는 것이다.

 

천마살(天馬殺)은 삼합(三合)의 왕기(旺氣)가 역마살이 되는 경우를 의미하니 申子辰삼합壬寅역마살을 의미하고, “亥卯未삼합乙巳역마살을, “寅午戌삼합丙申역마살을 그리고 巳酉丑삼합辛亥역마살을 의미하니 여기서 왕기는 삼합이 추구하는 오행의 생지가 되는 강한 기운을 의미하는 것이다.

 

역마살(驛馬殺)이 공망과 원진살 그리고 합형충이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역마살이 충이 되면 이를 분마(奔馬)라고 하며 이는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하는 형국이 되니 주마가편(走馬加鞭)의 분위기가 느껴지며 매우 분주하며 교통사고 등을 조심해야 하고 세운에서 충이 오게 되면 교통사고, 이동수가 있게 된다.

 

도화살(桃火殺)과 동주하는 역마살은 주색잡기나 색정(色情)으로 인하여 분주하게 되며 망신살과 동주하면 노상횡액, 가정불화 등의 불길한 관재수가 있게 되고 또한 언행이 거친 일간이 된다.

 

역마살이 고신살이나 과숙살이 동주(同舟)하게 되면 외로운 명()이 되니 슬픔, 고통, 비애감, 떠돌이, 과부, 홀아비, 스님, 수녀, 전도사, 신부 등이 단어가 연상되고 역마살은 혼자 타고 다니는 가마, 자동차이니 고독성(孤獨星)이 된다.

 

흉신과 동주하는 역마살은 일생동안 분주하고 고생을 많이 하게 되며 반대로 천을귀인의 역마살은 모사에 능하고 용모가 화려하며 말을 타고 다니는 귀인의 형상이니 아름답다.

 

수나 수가 시간(時干)에 있고 역마살이 있게 되면 허둥대면서 분주하게 살아가니 이를 패마(敗馬)라고 하며 일명, 절로공망(絶路空亡)이라 이러한 일이 생기는 것이다. 寅午戌, 申子辰에서 나오는 역마성 즉, 목과 금의 역마성을 강하게 보고 巳酉丑, 亥卯未에서 나오는 역마성 즉, 수와 화의 역마성은 음삼합이라 약하게 본다.

 

역마살이 합을 하게 되면 일명, 유마(留馬)라고 하며 이는 마음은 있으나 실천력과 추진력이 약해 중도에 실패하기 쉽다는 의미가 된다. ()에 있다면 먼 객지나 외국에 나가서 사는 팔자는 아니라는 의미가 되고 대운과 세운에서 들어오면 외국에 가지 않는 것이 길하게 되니 이는 묶여있는 상황과 같아서 역마살임에도 불구하고 변동이 적다는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공망(空亡)을 맞는 역마살은 병든 말 즉, 병마(病馬)라고 하며 이는 부실하여 큰 발전이 없게 되며 외국에 나가서 고생을 많이 하게 되고 돌아올 때는 빈손으로 귀국하게 되니 이는 외국에서의 생활이 발전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거주지의 변화가 많게 되고 외국에서 사업하기를 좋아한다.

 

역마살이 원진살과 동주하게 되면 외국생활에서 항상 사람들과 분쟁이나 원한의 소지가 많게 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며 역마살이 형살을 맞으면 교통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신체를 상하게 되는 몸수가 있게 되고 목과 화는 교통사고, 항공사고 등을 의미하며 금과 수는 해양사고, 익사, 우천 시의 사고 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