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을귀인(天乙貴人)에 대하여
甲목과 戊토 그리고 庚금일간에게는 丑토와 未토가 乙목과 己토일간에게는 子수와 申금이 丙화와 丁화일간에게는 亥수와 酉금이 辛금일간에게는 午화와 寅목이 壬癸수 일간에게는 卯목과 巳화가 천을귀인(天乙貴人)에 해당되며 12 지지 중에 辰토와 戌토만이 천을귀인이 임하지 않는 것이다. 천간에 따라 지지의 천을귀인을 따지는 것이 보통이나 사주통변에 능하게 되려면 지지에 따라 천간을 헤아리는 안목도 있어야 하는 것이다.
선생님들에 따라서는 음양(陰陽)에 따른 음귀(陰貴)와 양귀(陽貴)를 구분하여 통변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원에서는 음양(陰陽)에 따른 천을귀인(天乙貴人)을 구분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를 바란다.
옛날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의 5 번 째 별에는 천을귀인신(天乙貴人神)이 살고 계신다고 생각해 왔으며 이 天乙貴人神은 지상의 인간에게 복을 내려 주는 길한 신(神)인 것이다. 천을귀인은 4 지지 궁위(宮位) 별로 통변이 다르게 되며 또한 여기에 육신과 육친을 입혀 통변에 임해야 하고 그 의미는 애착이 약하고 험한 일을 하지 않고 학문, 공부 등의 정신적인 일만 하니 원국에 천을귀인(天乙貴人)이 있으면 그러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일간이 되는 것이다.
요즘의 천을귀인은 관인상생(官印相生)의 양반이 분명하니 해당 육신(六神)의 능력이 없다는 의미로 통변하니 만약 재성이 천을귀인(天乙貴人)이라면 재물에 대하여 급급해 하지 않으니 이는 재물을 벌지 못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재물에 대하여 적극성이 없고 또한 조바심을 내지 않고 살아간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또한 건명(乾命)이라면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일을 못하니 여자를 유혹하는 능력이 없다는 의미로 통변하면 잘 맞는다.
직장, 직책, 책임감을 의미하는 관성(官星)이 천을귀인(天乙貴人)이면 관성(官星)에 대한 적극적인 마음이 없으니 좋은 직장을 구하고 그 조직에 적응하려는 적극적인 의지, 능력이 없는 일간이니 본인이 직접 좋은 직장을 구하기 힘들고 아니면 실업자인 것이다. 또한 곤명(坤命)은 관성(官星)인 남자를 유혹할 적극적인 의지, 능력, 관심, 표현이 부족한 일간이 된다.
재물을 향한 능력(財-tech테크), 일, 자식 등을 의미하는 식상이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되면 식상에 대해서 크게 연연해 하지 않으니 만약에 함께 일을 하는 경쟁적인 분위기의사무실에서 방문손님이 오면 동료에게 양보하며 이에 대해 조바심을 부리지 않는 일간이 되는 것이다.
재성(財星)과 관성이 천을귀인인 경우에는 통변이 정확하고 또한 활용도가 좋으나 정인과 비겁이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되면 일반적으로 해당 육신, 육친에 관한 한, 적극적인 표현, 의사, 능력이 없다는 의미가 되나 활용도가 떨어지니 보다 세세한 작용은 각자 임상을 통해서 보완을 하면 좋겠다. 물론 궁위 별, 천을귀인의 통변은 예외가 된다.
결론적으로 대운을 포함한 원명에 천을귀인신(天乙貴人神)이 중중(重重)하면 사람은 좋으나 천성이 부지런하지 못하고 사회성이 많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나 제화(制化)가 좋아서 사회생활을 잘 하고 있다면 사회생활에 임하는 가치관이나 일을 하는 방범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