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未토의 생극제화(生剋制化)에 대하여
未토는 “토생금(土生金)”의 작용도 잘 하고 다른 것도 키울 수 있다. 子未는 “토극수 (土剋水)”이고 원진살이 되며 子수는 “토극수(土剋水)”를 당해 피해를 입게 되나 원명(原命)에 未토, 子수운은 未토를 적셔주니 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巳午未에 子수운운 "子午충", "子未원진"으로 子수의 역할이 없어지게 되나 申금과 亥수가 있으면 子수가 힘을 얻게 된다. 未월은 최종 목적지를 향해 계획을 다시 세우게 되는데 午월 보다는 규모나 범위가 줄어들게 된다.
마감한 未토가 생지인 亥수를 만나 "亥未가합"이 되면 노후설계를 가동하는 형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묘지(墓支)가 생지(生支)를 만나면 정신적인 만족감을 주니 정신적인 일 즉, 자연 친화적인 일, 경험을 조언, 지식기부, 심성이나 심리적인 일을 해야 한다. 未토가 午화와 함께 있으면 목표가 뚜렷하고 亥수를 통해 실제적인 행동으로 바로 들어간다.
조후가 불량해서 "子未원진살"이 되면 계획만 세우다가 그만 두는 일이 생긴다. 그러나 辰토, 申금 그리고 亥수가 있다면 흉한 역작용을 하는 원진살이 아니나 巳戌이 있으면 원진살의 흉한 역작용이 되니 이는 계획만 있고 실행이 없게 됨을 의미한다. 원진살이 되면 과정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고 적게 먹고 움직이면 안 된다. 특히 조후가 중요한 "子未원진"은 충과 합의 중간이니 삼각관계가 되고 갈등이 된다. 현상유지만 해야 하고 만약 진행하던 일이 있다면 속전속결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원진은 沖과 合의 중간이니 즉각적인 변화는 없으나 나중에는 한 쪽의 기운이 빠지게 되니 신경이 곤두서 있고 피곤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나중에 꺽이는 쪽이 원망으로 간다. "卯酉충", "乙辛충"은 가장 강력한 불구대천沖이다. 백호살(白虎殺)은 압축된 기운과 폭발성이 있으니 잘못 터지면 무의미한 죽음을 당할 수 있으며 괴강살, 양인살(陽刃殺)과 더불어 크게 성공할 수 있는 요인도 있으나 그 성공 때문에 본인이 폭발하고 추락할 수도 있게 되니 辰戌丑未의 입묘되는 것이 잘못 터지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곤명(坤命)에 官星이 왕한 경우에 직장생활을 잘 하게 된다면 남자가 없거나 결혼을 못하게 되고 직장생활에 시달리고 있으면 남편이 좋은 양면성, 대칭성이 있다. 未토는 木기를 마감하고 거두워 들이는데 잘못 터지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호랑이에게 한 번 당해 보았으면 후일에 활용한 때, 호랑이의 흉내를 내서 절묘하게 활용하게 되는 형상이다. 乙未(32)일주에서 甲목과 癸수는 未토에 입묘되니 甲목과 癸수에 해당되는 육친은 乙未(32)백호대살의 피해를 보거나 본인이 당하게 되니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친이 당했으면 본인은 당하지 않는다는 의미인 것이다. 백호대살은 형(刑)과 충(沖)일 경우에 사고가 나게 되니 합형충파해 등으로 건딜지 않는 것이 좋다. 살기(殺氣)가 있으니 본인이 사고를 당하거나 가까운 사람이 비명횡사(非命橫死)를 할 수 있는 것이다. 未토가 흉신(凶神)이면 사건사고, 미완성, 경거망동, 천재지변(天災地變)의 역작용이 나오고 길신(吉神)이면 좋은 순작용이 나옴은 당연지사(當然之事)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