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 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전장에서 편인(偏印)에 대한 공부를 충분히 하셨기를 바라며 편인에 관한 오행의 물상에서 많은 그림을 그려내고 이를 통변에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면서 제한된 시간과 지면상 간단한 설명을 하니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블러그의 천간물상론(天干物像論)에서 궁구하기를 바란다.
甲壬편인 - 정신적, 이론적, 전체적인 양간과 양간의 조합이니 전형적인 편인이 되며 甲목일간은 火金식관이 왕한 사목이든 水木인비가 왕한 생목이든 壬수편인을 잘 활용한다. 巳월에서 戌월까지의 "甲癸정인"은 癸수정인이 약하니 사목인 甲목일간이 썩어버릴 우려가 있으나 "甲壬편인"은 壬수편인을 잘 활용하며 깊이가 있고 독특한 기술, 학문을 하는 것이다.
土기재성의 유무로 실용성을 살피나 편인격이 되면 亥子丑월인데 조후가 시급하기 때문에 火기식상이 있어야 꽃을 피울 수 있으니 火기식상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壬수편인이 왕하면 부목이 되니 이런 경우에는 戊토와 戌토재성이 시급하며 조후를 해결하는 丙화식신이 있으면 대중적으로 인정을 해주는 보편적인 실력이 되고 丁화상관은 술객, 도인냄새가 난다. 火기 식상이 없으면 甲목일간은 壬수편인 속에 빠지게 된다. 甲壬丙戊.
乙癸편인 - 亥子丑월의 편인격이면 엄동설한(嚴冬雪寒)이니 인동초의 강인함이 느껴지며 火기식상이 있으면 乙목일간은 특용작물이 되고 결과가 있으니 전문적, 실용적, 기술적인 편인이 된다. 손재주, 인테리어(Interior), 아기자기, 특별한 것을 만들며 빠르다. 재료가 부족해도 맛있고 빠르게 특별한 요리를 만드는 재능이 있으며 정인격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현실적 감각인 土기재성이 없으면 판매할 시장이 없는 형상이니 결과가 없게 되고 도식의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일식 요리사는 실력, 눈썰미, 미적감각, 손재주가 섬세해야 하는데 土기재성이 없는 상황에서 개업을 하게 되면 곧 문을 닫게 되니 유의할 일이다. 乙목일간이 얼어 버리면 흉하나 운에서 한 번은 피는 경우가 있으나 편인이라 지속성, 현실감각이 없음이 흠이 된다. 乙癸丙戊.
丙甲편인 - 규모(Scale)가 크고 전문성이 있는 가장 좋은 甲목편인이며 재성의 역할을 하고 丙화일간은 甲목편인이 없으면 공허하다. "○丙甲庚"은 전문가의 명(命)이며 亥월의 甲목편인격이 가장 좋다. 甲목편인은 다년생 나무이니 지속성이 있으며 궁합, 코드가 맞게 되며 설계와 시공 등의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丙甲庚.
丁乙편인 - 乙목편인은 생목이니 乙목편인이 바라보는 丁화일간은 빛일 확률이 많으며 만약에 열이 되면 乙목편인의 도움이 없고 빛이면 순환주기가 빠른 乙목편인은 상당히 특화된 기술이 된다. 예민, 정보수집, 대처, 적응, 판단능력이 빠르며 시대에 맞는 기술, 손재주를 활용하는 기술, 유행을 빨리 파악하니 현물시장, 옵션(Option) 등의 직업이 좋다. 지속력과 규모, 스케일(Scale) 등은 甲목정인보다 떨어지며 가야금 등의 예능인과 디스크, 치질 등 특수한 분야의 수술을 잘하는 의사가 많다.
戊丙편인 - 음양이 반반이니 丙화편인의 특수성이 가려지며 통제받기 싫어하니 직장, 제도권은 맞지 않는다. 戊토일간이 丙화편인을 가리게 되면 음지가 생기니 찬반, 호불(好不) 등이 갈리고 丙화편인 전체를 활용하기 어렵다. 丙화편인이 강할수록 그늘이 짙어지며 木기관성이 있어도 丙화편인 전체를 활용하기는 어렵다.
己丁편인 - 열작용을 하는 丁화편인은 己토일간을 말려 버리니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엉뚱한 짖을 하게 되며 좋은 기술을 사업화 하다가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 水기재성의 작용이 중요하고 만약, 水기재성이 없다면 문제의 소지가 많게 된다.
己토일간이 丁화편인을 만나게 되면 특용작물을 키우는 온실이 되어 특수한 용도로 변하게 된다. 丁화편인은 기술적인 특성이 있고 己토일간은 기르고 양육을 하는 특성이 있으니 이는 특별한 재주, 아이디어 등을 갖고 특수한 작물을 키워 정신적, 전문적인 장인, 명인이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壬수정재를 만나서 “丁壬음란지합 (淫亂之合)”이 되면 엉뚱하게 나가서 실패하게 되며 이는 좋은 집, 환경에서 불법적으로 양귀비를 재배하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