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壬壬비견에 대해서
Image Origin is Blog Captured ■ 壬壬비견에 대해서
“壬壬비견”은 섞여서 적군인지 아군인지가 분리, 구분이 안 되어 발생하는 피해가 해일처럼 돌발사태가 생기게 된다.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같은 방향으로 함께 가는 경우에는 잘 어울리나 결말, 나눌 때, 헤어 질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되니 火기재성이나 土기관성을 향해서 친구, 동업자와 함께 가면 일, 금전, 활동공간, 남자 등의 이유 때문에 분리, 이별을 하게 되며 평소에는 양보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판단력이 애매해진다.
함께 하는 시작은 잘 하나 결론을 내거나 결산할 때 문제가 발생하니 동업을 한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壬癸겁재"도 섞이는데 癸수겁재가 혼탁해 지면서 존재감을 잃어버리나 壬수일간보다는 실용적이고 좋은 머리, 판단력이니 癸수겁재는 壬수일간을 잘 활용한다.
나중에는 癸수겁재가 중요한 핵심사항이나 알맹이를 빼가고 뒷통수를 맞는 일이 생기니 평소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일이다. 하나의 壬수는 도도하게 흐르는 강물이 되나 “壬壬비견”의 2 개의 壬수는 여유와 침착성을 잃어버리니 충동적이 되고 돌발상황이 생기게 되며 일간과 비견(比肩)이 함께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배운 것처럼 같은 비견이지만 "甲甲비견"은 섞이지 않고 순위에 대한 경쟁을 하고 "庚庚비견"은 승패에만 관심이 있다. 지금은 10천간의 10개의 비견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이니 10개의 비견에 대한 차이점, 가기 다른 통변에 대해 그 의미를 잘 파악하기 바란다.
“壬癸겁재”는 겁재다운 겁재이고 다른 오행들과 달리 壬수일간은 평소에 癸수겁재의 존재 자체를 못 느끼다가 분리하는 시점에서 癸수겁재에게 뒷통수, 두뇌 싸움에서 당하게 된다. 壬수일간은 癸수겁재의 충동질, 계획, 술수에 흥분하고 넘어가니 감정을 보이지 않고 도도하게 흐르던 壬수일간이 갑자기 속도를 내게 되며 특히 약한 壬수일간이 癸수겁재를 만나면 조절이 어렵다.
壬子(49), 壬申(09)일주는 癸수겁재를 만나도 흔들리지 않으나 壬午(19), 壬戌(59), 壬寅(39) 일주는 잘 흔들리니 癸수겁재에게 당하고 실패, 실수를 하기 쉽다. 壬수일간은 흐르기만 하면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니 이는 木기식상이 해결해 주는 것이다. "戊癸육합"이면 흉하지는 않으나 흐르지 못하는 癸수겁재가 요동을 치니 甲목식신으로 설기(洩氣)함이 가장 길한 방법이 된다.
섞여서 구분, 분리가 안 되며 협력이 아니고 흉한 역작용을 하는 것이니 왕한 壬수일간에 壬수비견운은 격랑을 만들어 돌발사태를 일으키며 약한 壬수일간만이 壬수운에 도도히 흐르는 물이 되는 것이다. 통근한 壬수일간에 壬수비견이 있으면 戊토편관 만으로는 통제가 어려우니 木기식상으로 수로를 만들어야 한다. 壬수일간의 목적은 木기식상을 통하여 흐르는 것인데 "壬壬비견"은 시작은 함께 잘하나 구분이 안 되어 피해가 나타나게 되니 동업, 유종의 미가 어렵다.
구분이 안 되는 壬癸수 비견은 제 3 자가 조정을 해주어도 서로 편하지 않고 서운하게 생각하니 관여하면 안 되고 섞이지 않는 "甲乙목 비견의 분쟁"은 참견해서 조정을 해주면 좋고 "庚辛금 비견"은 다치게 되니 관여를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癸수입장은 壬수겁재를 활용하니 별 문제가 없다. 원래 속 마음을 알 수 없는 壬수일간이 壬수비견을 만나면 속전속결(速戰速決)하고 충동적으로 일을 벌려 흉한 역작용을 하는 것이다.
"壬壬비견"은 파도, 해일이니 돌발사태, 삼각관계의 역작용이 생기고 이는 외적인 비견 때문에 발생하며 "壬癸겁재"는 癸수겁재가 실속을 모두 챙겨 나간다. 하나의 壬수일간은 깊이가 있고 조용하고 여유있고 부드럽게 흐르나 壬수비견을 거듭 만나게 되면 돌발적인 격랑을 일으켜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일간도 비견도 모두 피해를 보게 된다. |